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파도타기도 안 되고, 산호초 밖으로 나가는 것도 안 되면 도대체 뭘 하라는 거지?”호기심 넘치는 소년 돌고래 ‘다니엘’은 불만이 많다. 그가 속한 돌고래 무리의 규율이 매우 엄격하기 때문이다. 오직 할 수 있는 일은 먹이사냥뿐. 무료한 일상을 반복하던 어느날, 다니엘에게 이상한 목소리가 ... ...
- 4화 평행우주에서 찾은 사랑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지난 달 큐피트상들의 음모로 희생당한 앨리스가 파티장에서 데카르트와 춤을 추고 있다니,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 분명, 침통한 분위기의 데카르트는 집에 돌아갈 날만 기다리고 있었는데….이번 달에는 시공간 여행이 부린 마법과 같은 러브 스토리가 펼쳐진다.미션 ❶ 자선 파티 티켓을 확보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유난히 추위에 약한 변지민 기자. 한겨울 영하로 내려가는 날이면 추위에 온몸을 부들부들 떨며 하루 종일 담요를 뒤집어쓴 채 밖에 나가지도 않는다. 오늘도 한파를 피해 따뜻한 편집실로 막 뛰어 들어오던 찰나, 입구에서 딱! 마주친 편집장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을 찾아오라는 청천벽력 같은 ... ...
- [현장취재] 온가족이 즐거운 수학체험관 궁리마루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수학공부도 놀면서 할 수 없을까?”다양한 체험학습 시설이 생기고 있지만, 유독 수학만은 체험하면서 배울 만한 곳을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생긴 지 1년 만에 13만 명의 청소년을 열광시킨 수학체험관이 있다. 종이와 펜 없이도 수학을 즐길 수 있다는 걸 보여 준 ‘궁리마루’는 어떤 곳일까? ...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앙리 푸앵카레는 그칠 줄 모르는 지적호기심과 사고능력으로 동시대 수학의 모든 분야에 통달했다고 해서 ‘마지막 보편주의자’라고 불리곤 한다. ‘마지막’이라는 표현에는 이제는 이런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탄식의 의미가 포함돼 있다. 그는 왜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가 된 걸까? 수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사자 몸에는 피부에 붙어서 피를 빠는 진드기와 같은 외부기생충도 있지만, 뱃속에서 영양을 빨아 먹는 내부기생충도 있다. 초식동물을 잡아 먹고 감염되는 사자촌충(Taenia simbae) 역시 그런 내부기생충의 하나다.그런데 흥미롭게도 사자의 몸 안에 있는 이 촌충이 사람의 장기에 기생하는 촌충과 가 ...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자세제어용 로켓의 추진시간을 다시 계산해 봅시다.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하니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3월 초순 항공우주연구원 본관 9층 가상 시뮬레이션 실험실. 대형 화면에 달 탐사선 이 달 표면을 스치듯 날아갔다. 한국형 달탐사선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 가상현실에서 반복 실험을 ... ...
- ➍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멀티스케일은 여러 가지 스케일(규모)이라는 의미입니다. 자연계는 단일 스케일이 아니에요. 나노단위부터 마이크로까지 다양합니다. 나무를 보면 굵은 줄기가 있고 작은 가지, 잎까지 각 스케일이 다 의미가 있죠. 곤충의 날개도 그렇고요. 이런 것을 연구하려면 멀티 스케일로 해야 하죠. 도마뱀 ... ...
- 하루에 2cm, 기후를 지키는 움직임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쌤! 요즘 독도에 엄청 관심이 많아졌어요.정말요?네. 그리고 관심을 갖고 생각을 하다 보니까, 독도를 지키는건 역사적인 사료를 찾는 것도 좋지만 독도에 대해서 우리가 잘 알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독도 주변 지형은 어떻게 생겼는지, 주변 해수는 어떤 성분이고 그 안에는 어떤 어류가 살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2우리는 ‘양(陽)의 온도’의 세계에서 살고 있다. 절대영도(영하 273.15℃, 0K)에서 무한히 뜨거운 ‘무한 온도’까지가 바로 양의 온도다. 우리는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는 없다고 알고 있다. 그런데 독일 루드비히 막시밀리언대와 막스플랑크 연구소 양자광학부 공동연구팀은 약 10만 개의 칼륨 원 ... ...
이전245246247248249250251252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