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뻥! 지구에 거대한 구멍이 뚫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집이 빨려들어가고 3명이 사망했다.도시 한가운데 구멍이 뚫리다!“헉!”직접 현장을
본
나는 입이 떡 벌어졌어. 농구선수 오십 명이 두 팔을 벌리고 그 주위를 둘러싸도 모자랄 만큼 커다란 직경 30m의 구멍이 나 있는 거야. 그것도 주택가 한복판에 말이야. 게다가 처음 있는 일도 아니래. 지난 해 1 ... ...
사막에서 안개 모아 물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않고 붙잡아 둘 수 있는 그물망 소재를 만들어 냈어요. 이 그물망 소재로 안개를 모아
본
결과, 1㎡의 그물망에서 하루에 1ℓ의 물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해요. 연구팀은 이 기술이 깨끗한 물을 구하지 못해 힘겹게 살아가는 전세계 9억 명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Part 1. 변기물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수세식 변기는 물을 이용해 배설물을 처리한다.볼일을
본
뒤 변기물을 내리면 변기 안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수세식 변기의 손잡이를 밑으로 내리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마개줄이 물통 바닥에 있는 사이펀 마개를 들어 올린다. 막혔던 마개가 열리면 수압과 중력에 ...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화장실에서 변을 보면 물을 내릴 수 없어 악취가 진동하자, 사람들은 밖으로 나와 변을
본
것이다. 만약 전국적으로 3일 이상 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한반도 전체가 일명 ‘똥 천국’ 이 되는 건 시간문제일지도 모른다. 구미시에서 벌어진이번 사건은 물의 소중함을 절실하게 느끼게 한다 ... ...
스스로 운전하는 똑똑한 자동차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필자가 속한 서울대 컴퓨터 네트워크 및 보안 연구실은 기
본
적으로 컴퓨터들간에 어떻게 하면 빠르고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을 갖 ... 나오는 무인자동차, 자율 로봇이다보니 연구 그 자체를 즐길 수 있었지 않았나 생각해
본
다. 뭐든 재미있어야 열심히 하기 마련이다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상상력을 통해 나오기 때문이다”라고 한 말과 비슷하다. 아인슈타인도 “자연의 기
본
법칙은 논리적인 경로가 아닌 직관만이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했다. 과학자들에게 엄격한 논리성은 필수 조건이긴 하지만 직관이라는 다른 요건도 충족돼야 창의적인 산출물을 낼 수 있다. 시대정신과학자는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수 있다. 과학자에 대한 책도 보면 좋다. 과학자 한 사람이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본
인 인생의 진수를 써 놓은 책을 읽어야 한다. 수학 공부를 하면서 꺠달은 것이나 신기한 공식은 꼭 메모해두고 주제별로 정리하면 복습할 때 도움이 된다. “저는 아침잠이 많아요. 그래서 문제집도 한 번 다 못 ... ...
물리 - 빛의 마술, 신기루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깊이가 얕아보여서 시냇물에 발을 들였다가 낭패
본
적이 있는가? 한낮에 도로 위의 자동차는 아른아른 흔들려 보인다. 싱싱한 횟감을 사러 갔다가 수족관 안에 있을 때는 큼지막하던 물고기가 막상 꺼내면 너무 작아서 실망하기도 한다. 모두 굴절 현상 때문이다.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못했다고 한다. 포물선의 원리를 공부한 수학동아 독자들이 첫 번째 주인공이 되길 바라
본
다.포탄이 날아가는 경로, 포물선 포물선은 한자로 던져진 물체가 그리는 곡선이라는 뜻이다.포물선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면 이차함수 y=ax²의 꼴로 표현할 수 있다. 사실 포물선을 나타내는 이차함수는 ... ...
[수학클리닉] 확률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확률의 경우 새로 등장하는 용어와 그 정의, 경우의 수 또는 확률을 구하는 방법 등을 기
본
적으로 잘 알아야 응용문제를 풀 수 있다는 뜻이죠.‘확률’단원을 정복하고 싶다면 다음 두 가지는 꼭 알아두도록 해요.첫째, 경우의 수를 구할 때는 조건에 맞는 모든 가능성을 빠짐없이 중복되지 않게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