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 망원경으로
본
천문학의 발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망원경 400년의 역사를 통해 망원경의 발전이 천문학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
본
다. 망원경의 발전은 때로 한계에 다다랐지만 과학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한계를 극복했다. 오늘날 망원경에는 어떠한 기술이 사용되는지 살펴보고 천문학 발전의 전망을 살펴보자.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출발해 다른쪽 입구 B로 여행하면 미래로 여행할 수 있다. [웜홀을 통과하는 여행자가
본
웜홀의 모습을 상상한 그림. 검은 띠는 ‘사건의 지평선’이다. 이는 블랙홀과 화이트홀의 경계선이다.]아이디어의 기원웜홀을 이용한 시간 여행은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이론물리학과 교수가 제안했다.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목표를 조정한다. 자기 절제는 집행 기능의 연장선이다.목표달성을 위해 근시안적이거나
본
능적인 사안은 억제하고 궁극적으로 집행기능이 잘 작동하도록 조절한다. 이런 일을 뇌에서는 전두엽이 맡아 한다.따라서 전두엽이 고장 나면 자기만 생각하거나 염치가 없어지는 성격이 나타난다. 또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물통이 세 개나 터졌다”며 “연결부위가 자꾸 떨어져서
본
드에서 글루건까지 안 써
본
접착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다른 팀의 연구도 보고 토론하면서 시각을 넓혔다”며 “앞으로 훌륭한 기초과학자가 되고 싶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이 날 대회에서는 대상 1개 팀, 우수상 8개 팀,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감추고 피하거나 알아서 벌을 선다? 개가 그렇게 도덕적인 동물일까.개를 잠시라도 키워
본
사람들은 위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수긍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 잘못 알려진 상식이다. 개가 색맹인 것은 사실이지만 적록색맹처럼 붉은색과 녹색을 헷갈릴 뿐이다.자신이 실수한 현장에서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번에는 문제를 파악하는 데에 오래 걸렸다. 기계 안에 들어가 내부를 다 휘저어
본
조수가 땀을 흘리며 나오면서 말했다.“전선이 하나 끊어져 있었어요. 그런데 이상하군요. 이건 자연히 끊어진 게 아니에요. 누군가… 칼로 잘라낸 겁니다.”“누가?”“이해할 수 없군요. 나는 조금 전에 전송기를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뛰어난 로봇이 등장해 권투를 하고 화려한 조명을 받는 시대가 와도 결국 인간성의
본
질에는 변화가 없다는 소리다. 사람과 기계 사이도 그런데 사람과 사람 사이라면 더 말할 나위도 없다.[아톰은 스파링로봇답게 작고 가볍지만 맷집이 강한 로봇이다. 아톰은 동작을 모방하고 학습하는 기능이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전국수학교사모임 회장10 Lessons_과학동아북스, 2011 수학시간이면 학생들에게 수학의
본
질은‘다른 눈으로 바라보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말해준다. 위대한 수학자들은 사소한 변화에서 출발해 중요한 수학 연구로 발전시킨 경우가 많다.‘10 Lessons’는 이런 면을 가장 간단하게 제시한 책이다. 이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대해 배울 수 있답니다. 전 애니메이션을 전공하고 있는데요, 1학년 때는 주로 이론과 기
본
제작 과정에 대해 배우고, 2, 3학년때는 팀을 만들어 단편 애니메이션을 만들게 돼요.우와, 힘들지만 정말 보람 있겠어요.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에 진학한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보통 고등학교에서 배우지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최초의 현대식 수세식 변기를 고안했다. 그는 나무의자 위에 물통을 설치했고 볼일을
본
뒤 물을 내릴 수 있는 손잡이를 고안했으며, 오물이 분뇨통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관을 만들었다. 그러나 분뇨통이 간이 덮개로 덮여 있어 관을 따라 고약한 냄새가 올라오는 문제가 있었다.사이펀의 원리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