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유기합성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KAIST와 POSTECH(포항공대)에서 연구원을 지낸 뒤 일본 교토대에서 특임교수로 재직했다. 현재는 고려대 화학과 교수로 유기화학 분야를 연구 중이다.heejinkim@korea.ac.kr *용어정리원자가띠(valence band)절대영도(0K)에서 전자가 존재하는 가장 높은 전자 에너지 범위 ... ...
- 이탈리아 최초, 유럽 여성 우주인 최장 기록 세운 사만다 크리스토포레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사람들에게는 그게 에스프레소였겠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사만다는 2015년 비행을 마친 뒤에도 훈련과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 세계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달 저궤도 우주정거장 프로젝트인 ‘루나 게이트웨이(Lunar Gateway)’에 유럽 우주인 대표로 참여하고 있다.그는 “현실적으로 ... ...
- Q. 안전하다 vs. 아니다 왜 엇갈리는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다핵종제거설비(ALPS·Advanced Liquid Processing System) 같은 각종 장비로 오염수를 정화한 뒤, 희석시켜 방출하는 방안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과학적으로 안전하다고 주장합니다.여기엔 두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첫째는 그렇게 정화한, 방사능 농도 안전관리기준을 만족하는 오염수가 ...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바다에 얼마나 중요한 생물인지 다시금 확인하게 됐을 뿐만 아니라, 대학에 진학한 뒤에도 산호에 관한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캠프가 끝날 때쯤 어느새 안 군은 수다쟁이가 돼 있었다. 다른 참가자들과 함께 음악을 듣고 장난을 치며 한층 친해졌다. 그는 현지 ... ...
- [출동!기자단] 유산균이 태어나는 곳, 쎌바이오텍 연구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없다가 출산 과정에서 입을 통해 장 속 세균을 갖게 된답니다. “이처럼 태어난 뒤 자란 환경이나 식습관 등에 따라 장 속 세균의 종류가 달라져요. 한국인들은 마늘이나 파 등을 많이 먹어서 항균작용을 하는 이런 향신료에 적응한 세균 도 많이 갖고 있죠.” 부장님은 이어서 쎌바이오텍에서 ...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수고가 있었기에 이번 관측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어요. 한 장의 블랙홀 사진 뒤 에는 이렇게 많은 연구자의 노력이 담겨 있답니다! ┼인터뷰 “다음 목표는 우리은하 중심의 블랙홀이에요!”_정태현(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선임연구원) Q 관측 도중 있었던 에피소드를 들려주세요! ... ...
- [과학뉴스] 딥 러닝으로 엘니뇨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기계학습 알고리즘이 적용된 기후예측모델은 데이터를 입력한 시점으로부터 최대 1년 반 뒤의 엘니뇨 상황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해냈다. 최대 1년 후를 내다 보는 데 그쳤던 기존 예측기법 보다 성능이 50%가량 향상됐다.엘니뇨가 중부 태평양과 동부 태평양 중 어디에서 발생할지 예측했고, 엘니뇨에 ...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보는 것. 높은 지능을 유지하기 위한 유일한 처방이다. 김지은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이화여대 스크랜튼대 융합학부 뇌·인지과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뇌영상 기법을 이용해 유전자와 환경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 교재인 ‘더 바이폴라 브레인(The Bipolar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비키의 음모를 알아냈지만, 막을 방법이 없자 써니를 만들고 스푸너에게 실마리를 남긴 뒤 자살했던 것입니다.비키는 NS-5들을 조종해 스푸너 일행을 막으려 들지만, 화려한 액션극 끝에 스푸너는 비키를 파괴하는 데 성공합니다. 비키가 파괴되면서 폭주하던 로봇들도 다시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앞에서 시연했다.3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9 본선에 참가한 20개 팀이 대회가 끝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백강균으로 닭진드기 박멸, 빗물 이용한 환기시스템올해 대상은 ‘차박사 아들딸’ 팀이 차지했다. 이 팀은 식물성 소재를 이용한 의류 코팅제로 합성 섬유를 코팅하면 미세플라스틱 ... ...
이전245246247248249250251252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