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있는 김포 한강하구. 이곳에 재두루미가 다시 찾을 날이 올까. 노랗게 익은 논을 차창 왼
쪽
으로 보며 길을 되돌아왔다. 한낮의 햇빛에 달이 숨어서인지, ‘달을 가리는 새’ 기러기도 보이지 않았다 ... ...
항생제보다 100배 강한 마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유황화합물질이 잔뜩 들어 있거든요. 그래서 전문가들은 우리를 하루에 반
쪽
또는 한
쪽
씩 먹으라고 말해요. 너무 맵다고요? 마늘은 익혀서 먹으면 덜 맵답니다. 불에 익혀도 영양가가 달라지지 않아요.너희가 병균을 무찌른다고?최근 미국 과학자들은 우리가 항생제보다 100배나 강하다는 사실을 ... ...
베토벤도 깜짝! 음악에서 찾은 기하학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소리굽쇠의 한
쪽
끝과 램프가 수평을 이루도록 놓는다.❸ 바닥과 수평인 소리굽쇠의 한
쪽
끝과, 망원경처럼 생긴 장치가 수평을 이루도록 놓는다. 이 장치 앞에는 작은 거울이 달려 있고, 뒤에는 검은 스크린이 있다.❹ 소리굽쇠에 빛을 반사시키면 소리굽쇠의 진동이 검은 스크린에 도형으로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43km라는 전례 없이 먼 거리의 양자 전송 실험에 성공했다고 보고했다. 아프리카 모로코 서
쪽
에 있는 스페인령 라팔마 섬과 테너리프 섬 사이의 원거리에서 자유 공간을 이용한 실험이었다. 이렇게 양자 전송 거리가 늘어난 까닭은 얽힌 상태의 광자를 만들 수 있는 광원과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그리고 환경에 관련된 생명과학을 공부하는 것은 어렵지 않겠다는 생각이에요. 공학
쪽
은 경제 논리에 의해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환경과는 잘 맞지 않는 것 같아요.”가족끼리 여행을 많이 다니다 보니 재밌는 일도 많았다. 초등학교 3학년 때, 바닷가로 놀러가 텐트를 치고 놀다가 온가족이 잠이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동물로 하천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다(최상위 포식자의 생태 복원이 지니는 의미는 94~95
쪽
Bridge 인포그래픽에서 살펴보자). 연구 결과 대구 시내의 금호강과 신천에 최소 7마리 이상의 수달이 사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항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수달도 고립된 상태에서 번식을 하면 오랫동안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탱크(투명 전차)인 것 같다. 여기서는 탱크의 위치나 속도가 확인되지 않는다. 북동
쪽
탈출루트B를 이용하라.”무전을 끝내기 무섭게 나는 동료들에게 즉각 탈출할 것을 지시했다. 스텔스탱크는 진정 전장의 사신이었다. 120mm 재래식 포보다 4배 이상 강력한 레일건으로 무장했으며, 탱크 자체는 ... ...
Part II. 스트레스가 남긴 고통스런 흔적, 만성피로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노동하는 노예가 되는 노동사회를 낳는다.(…)그렇게 인간은 자기 자신을 착취한다.”(44
쪽
)어려워 보이지만 요점은 단순하다. 이렇게 스스로를 들볶는 것이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는 뜻이다. 스스로가 스스로를 엔진처럼 돌린다. 연료는 당연히 자기 자신이다. 한 교수는 이를 자신을 소진한다고 해서 ... ...
피라미드와 앙코르와트, 누가 먼저 무너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용도에 따라 필요할 때는 2m가 넘는 벽돌을 만들기도 했다.사암은 앙코르 유적에서 북동
쪽
으로 30km 떨어진 프놈쿨렌 산에서 캐왔다. 크메르 인들은 라테라이트 벽돌과 사암 표면을 매끈하게 갈아 모르타르 없이 건물을 쌓았다. 표면이 매끄러운 유리 두 장을 겹치면 서로 잘 떨어지지 않는 것과 ... ...
삼성이 특허전쟁에서 애플에 진 까닭은?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중심의 사고로는 이해하기 어렵다.글로벌 특허전쟁을 계기로 미래에는 기술이 좀 더 예술
쪽
으로 움직일 것이다. 자기 기술의 우수함만으로 남을 설득하는 시대는 이제 끝났다. 과학기술자는 스스로를 예술가라고 생각해야 할지도 모른다. 산업사회에서 예술이 기술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