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보
뉴스
비평
보도
논설
내용
기술
d라이브러리
"
기사
"(으)로 총 5,36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해밀턴은 그제야 빙그레 웃으며 도킨스를 따라나선다(왠지 ‘응답하라 1988’의 바둑
기사
최택 같다). 만약 십 분 전에 가서 세미나를 상기시켜 주기만 하고 먼저 발표장으로 향했다면 말짱 헛수고가 됐을 거라고 도킨스는 회상했다. 해밀턴은 도킨스의 말을 깨끗이 ‘까먹고’ 하던 연구에 전념할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영국 런던대 니콜라 라이하니 교수는 학술지 ‘생태와 진화 경향’에 기고한 리뷰
기사
에서 처벌은 집단에 속한 개체가 많을수록, 또 각자의 힘이 유사할수록 큰 힘을 발휘한다고 밝혔습니다(doi:10.1016/j.tree.2011.12.004).이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처벌이 ‘왕따’입니다. 동물의 협력은 서로 도움을 ... ...
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있단다. 그런데 실험동물이 뭐냐고? 지금부터 실험동물들의 이야기를 들려 줄게.▼관련
기사
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Part 5. 실험동물에게 새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모습일까. 또 앞으로 어떤 놀라운 발견들이 쏟아져 나올까. 이제부터 시작이다.▼관련
기사
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만약 동물이 스스로 운동을 한다면, 몹시 정밀하게 계산된 결과일 거라고 주장했다(박스
기사
참조). “인간은 에너지가 풍부한 음식을 끝없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강도 운동을 아무리 많이 해도 번식에 무리가 없다. 그러나 동물들은 굶어 죽지 않으면서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수 있을 만큼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연구결과가 가장 재능 있는 인간을 뛰어넘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는 것이다.” ▼관련
기사
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수 있을까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 ...
[Editor’s note] 모르는 재미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있습니다. 계산할 때마다 다른 수가 나오게 하려고 고민하는 거지요. 바로 이번 특집
기사
의 주제인 난수입니다. 항상 정확한 결과가 나와야 할 것 같은 수학으로 ‘아무렇게나 나오는 수’를 만들어야 한다니 참 재미있습니다.살다 보면 ‘아무거나’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내가 예상하지 못했던 ... ...
Intro. 난수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선수만 나오니 급기야 시스템을 의심하게 된다. 앗, 랜덤 생성에 비밀이 있다고?▼관련
기사
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 ...
Part1. 난수, 넌 누구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자동으로 난수를 만드는 기술이 등장한 것은 컴퓨터를 도입한 뒤부터였다.▼관련
기사
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참고자료 : ...
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많이 사용되는 동물은 쥐를 포함한 설치류로, 전체의 91% 이상을 차지한답니다. ▼관련
기사
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Part 5. 실험동물에게 새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