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1. 무시험 입학, 구김살 없는 과학영재 기른다
과학동아
l
199507
인사(INSA), 일본의 동경공업대학, 러시아의 바흐만대학 등 과학기술분야의 명문대
학과
협력관계를 맺고 교수와 학생의 교환을 추진하고 있다. 수년전부터 학생들이 해외 학술발표에 참가하기도 하고 있어 학술발전을 한걸음 앞당기는 역할을 한다 ... ...
4 기술투자 증가율 미국 압도, 서구 헤게모니 위협
과학동아
l
199506
아시아 최대의 경제력과 인적자원을 갖춘 일본은 그 뒤를 좇는 아시아 국가들에게 과학기술 발전의 한 모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안팎의 전문가들이 내린 결론은 '일본이 전세계의 테크노헤게모니를 쥐기 힘들다'는 것이다.과학기술 개발에 있어서 일본은 끝없는 모방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 ...
PART4 제4의 치료법 암백신 실용화 임박
과학동아
l
199506
방법으로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여러가지 실험들이 진행됐으나 분자생물
학과
면역학 등 배경지식이 부족해 단편적인 실험으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그러나 최근 몇몇 특정 암에서 암 특이항원이 발견되면서 암백신이 다시 관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암 특이항원이 암세포의 MHC(major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
과학동아
l
199506
94년 10월 카네기천문대의 여성천문학자 프리드만은 허블망원경을 이용, M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우주의 나이가 80억년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이 관측결과는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우주에 대하여 수없이 많은 궁금증을 가지게 된다. 그 중의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
과학동아
l
199506
우리나라 고대국가들은 서기전부터 천문현상을 체계적으로 관측하여 기록을 남겼다. 이들의 대부분은 천체역학 계산과 꼭 들어맞는다. 태백주현(太白晝見, 금성이 낮에 나타난 현상)을 중심으로 삼국시대 우리 선조들의 뛰어난 과학성을 알아보자."상서로운 구름이 골령의 남쪽에 나타났는데 그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
과학동아
l
199506
않은가를 결정하는 과학은 주로 추리통계학에 의존한다. 이정모(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
학과
) 교수에 따르면 이를 위해서는 몇가지 기본전제와 가정들이 필요하다고 한다.첫째 자연현상이 모든 공간과 시간에서 보편적이고 불변적이며 균일하게 일어난다는 가정, 둘째 자연현상은 정형적으로 ... ...
2. 고생대-중생대 5대 집단 멸종 사건
과학동아
l
199505
일반적으로 멸종은 진화의 일차적인 과정이 되는 자연도태의 산물이라 말해진다. 그러나 지질시대를 통틀어 5번에 걸쳐 일어난 집단멸종은 진화의 과정이라 보기에는 너무 집단적이고 무차별적이었다. 5대 집단멸종 사건으로 사라져간 생물에는 무엇이 있을까.멸종 현상은 자연 생태계의 갑작스런 ... ...
2. 인간 흉내일 뿐 기계 한계점 극복 불가능
과학동아
l
199505
강 인공지능론자들이 주장하는 '인간의 지능을 갖춘 컴퓨터'는 '인간의 지능을 흉내내는 컴퓨터'로 해석된다. 주어진 법칙에 따라 수행되는 프로그램만으로 의식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기계가 진정한 '지능'이나 '마음'을 가질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이미 오래 전부터 논쟁의 대상이 돼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05
만난다. 또 구면상의 삼각점의 내각의 합은 1백 80˚보다 크다. 구면기하학은 타원기하
학과
거의 일치되는 것처럼 보인다.그러나 ① S평면상의 두개의 S직선은 두 점에서 만난다. ② S평면상의 대극점 P P´를 지나는 S직선(대원)은 무한히 있다는 두개의 성질은 구면기하학이 타원기하의 성질을 충분히 ... ...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199505
35억년 전부터 지구상에는 갖가지 생물이 번성했다가 사라지곤 했다. 심할 때는 생물종의 90%가 일제히 멸망한 시기도 있다. 집단멸종은 왜 일어난 것일까. 현대 과학자들이 제시하는 집단멸종 원인에 대한 가설들을 점검해 본다.집단멸종은 왜 일이 났을까. 그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가설들이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