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544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그림자' 관측팀, '실리콘밸리 노벨상' 수상...천문硏 등 한국연구자 8명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독일 막스플랑크생화학연구소 연구원, 아서 호르위치 미국 예일대 교수,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에서 타우 단백질이 응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제기하고 관련 단백질을 발견한 버지니아 리 펜실베이니아대 교수 등이 받았다. 2019년 4월 EHT 프로젝트 팀과 미국 워싱턴 D.C.의 미국 국립 과학 ... ...
뇌
세포 조절해 비만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내 TSPO 발현을 억제시켜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과정을 묘사했다. DGIST 제공 김 교수는 “띠
뇌
실막세포 TSPO를 비만 등 대사성 질환을 치료할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세포가 자신의 기관을 스스로 분해하는 생명과학 작용인 자가포식 분야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 ...
21~25일 대구서
뇌
과학 올림픽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천 미국 샌포드번햄의학연구소 교수 등도 강연에 나선다. 인지 및 행동과 관련된
뇌
·신경 연구성과와 광학장비, 홀로그램 등 차세대 신경과학 기술, 양성평등 중요성 등을 공유하는 세션과 함께 신경윤리 문제에 대해 토론하는 세미나도 마련될 예정이다. ... ...
KAIST '
뇌
과학+AI' 융합연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등 40여 명의 내∙외빈이 참석할 계획이다. 이상완 CNAI 연구센터 소장은 “인간의 두
뇌
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기술의 영역으로 풀어내고 이를 AI로 이식하는 신경과학-AI 융합연구는 현재의 AI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출발점”이라며 “인간과 AI가 함께 진화해 나갈 수 있는 미래사회의 ... ...
[이정아의 미래병원]3D재건외과·BCI재활의학과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움직이게 한다는 생각이다. FDA와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재활의학과, 브라운대 의대
뇌
과학센터 등 공동연구팀은 2016년 국제학술지 '신경공학지'를 통해 앞으로 물리치료와 신경치료 등에서는 BCI(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급증할 것이며, 이에 대한 의료전문가도 많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보여주는
뇌
의 단면으로 등쪽
뇌
교(dorsal pons. 빨간 점선)에 집중돼 있음을 알 수 있다.
뇌
교는 잠의 조절과 관련된 부위다. '뉴런' 제공 10만 명에 겨우 네 명 2009년에 이어 이번에 또 수면시간 관련 유전자 변이가 밝혀졌지만 두 유전자의 변이로 적정 수면시간의 개인차를 설명하기에는 ... ...
심장 꿰뚫어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19.09.04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를 주도한 최원식 IBS 부연구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현미경이
뇌
신경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정밀측정과 관찰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 브레인'이
뇌
파 신호 보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의대 연구팀이 줄기세포로 만든
뇌
오가노이드. 배양 10개월 째인
뇌
오가노이드는 완두콩만 한 크기다. Muotri Lab 제공 다 ... 만든 '미니
뇌
'에서 포착한 전기신호. Muotri Lab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미니
뇌
의 단면. 대
뇌
피질 형성 초기단계를 보여준다. Muotri Lab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문제가 생긴다. 척수 신경을 침범하면 대소변도 가리지 못하고 성기능장애도 생긴다. 대
뇌
도 예외가 아니다. 우울증도 생기고 기억력도 떨어지고 인지장애도 생긴다. 신경세포가 담당하는 거의 모든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원인이 뭘까? 아직 원인을 모른다. 유전적인 요인이 있는 것 같지만, ... ...
[프리미엄 리포트] 고추 vs. 마라…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09.01
매운맛은 맛이라기보다는 혀가 아프다고 보내는 신호인 셈이다. 그런데 인간의
뇌
는 통증을 느끼면 이를 가라앉히기 위해 엔돌핀이라는 호르몬을 내보낸다. 이 호르몬이 모르핀 같은 마약성 진통제 역할을 한다. 마라토너들이 장시간 달릴 때 느끼는 쾌감인 ‘러너스 하이(runner’s high)’ 역시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