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어떤 매듭이 더 강할까? 수학으로 확인했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더 강한지는 경험으로 알고 있었지만 이론적으로 밝히진 못했습니다. 최근 요른 던켈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이끈 공동연구팀이 어떤 매듭이 더 강한지 확인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연구팀은 과거 스파게티면을 2조각으로 나누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만들었던 수학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접착제 없이 물건을 착! 붙이는 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전기는 만들 수 있지요. 2019년 9월엔 마찰전기를 이용한 탈모 치료기도 개발되었어요.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슈동 왕 교수팀은 마찰전기 발전기를 부착한 모자를 만들었답니다. 몸을 움직일 때마다 모자와 두피 사이에 작은 마찰이 일어나고, 이 마찰이 전기로 바뀌도록 만든 거예요. 이렇게 발생한 ... ...
[에디터노트] 수소의 꿈, 상상의 힘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수소차는 기술적 상상으로 끝날 위기에 몰린 듯했다.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 정보통신기술(ICT) 쇼인 ‘CES 2020’은 수소차의 운명(?)을 가늠할 좋은 기회였다. 폴크스바겐에 이어 세계 2위 완성차 제조사인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도요다 아키오 ... ...
[한페이지 뉴스] 모래+박테리아=살아있는 콘크리트?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 콘크리트 제조법을 개발했다. 윌 스루바
미국
콜로라도볼더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광합성을 하는 시아노박테리아(남세균)의 일종인 시네코코커스(Synechococcus)를 이용해 건축 재료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배양액에 젤라틴을 섞어 혼합한 ... ...
[천리안 2B] 환경탑재체 총괄 이승훈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분광기, 전자부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국내 연구팀이 망원경 부분을 개발하고,
미국
연구팀이 분광기와 전자부를 개발해 함께 조립하는 방식으로 환경탑재체를 완성했다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마블링이 주는 맛의 차이를 설명하긴 어렵다. 혹자는 ‘지방맛’을 주장한다.2011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미각으로 지방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미뢰의 CD36 수용체 발현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며 인간이 느끼는 6번째 맛으로 지방맛을 제안했다. doi: 10.1194/jlr.M021873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연구위원이다.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페르
미국
립가속기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미지의 암흑물질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며 암흑물질의 후보인 액시온을 연구하고 있다. swyoun@ibs.re.kr 용어정리 * 표준모형 (Standard Model) : 자연계를 이루는 기본입자 12개와 이들 ... ...
[
미국
유학일기] 대포가 쏘아 올린 방 배정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만들어 먹거나 기숙사 식당에서 노래방을 여는 등 크고 작은 행사가 자주 열린다.
미국
친구들은 평소 방문을 자주 열어 놓는다. 그래서 심심할 때 기숙사를 한 바퀴 돌면 이야기하거나 놀 사람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보통 그렇게 찾은 친구와 기숙사 휴게실에서 탁구나 당구를 치거나, 공용 ... ...
[수학뉴스]인어공주 조개가 입을 꾹 다문 사연은?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휘어지는 정도의 차이는 껍질 성장 속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1월 7일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드론의 장애물 회피 기술 나방에게 배운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주행 드론을 개발하려면 장애물을 효율적으로 피하는 알고리듬이 필수입니다. 최근
미국
보스턴대학교 연구팀은 나방이 장애물을 피하는 패턴을 분석해 자율주행 알고리듬을 개선했습니다.요아니스 패스찰리디스 전자공학과 교수팀은 먼저 박각시나방의 등에 위치와 회전량을 실시간으로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