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나라가 에너지 강국이 될 거예요. 현재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에서 미국, 유럽,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와 함께 ‘ITER’라고 하는 국제 공동 핵융합연구시설을 개발하고 있어요. 2025년에 완공하여 연구를 시작할 계획인데, 훗날 독자 여러분들과 함께 이곳에서 연구하게 되길 ... ...
- [과학뉴스] 갑오징어도 3D 영화 즐길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3D 영화를 보고 반응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1월 8일,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트레버 워딜 교수팀은 갑오징어도 인간처럼 입체감과 거리감을 느낄 수 있다고 발표했어요.이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양쪽 렌즈 색이 적색과 청색으로 다른 3D 안경을 실험에 사용했어요. 이 안경으로 사물을 ... ...
- 부품의 세계를 탐험하다! 일렉트론 영웅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이처럼 거대했던 컴퓨터가 작아질 수 있었던 건 ‘트랜지스터’ 덕분이에요. 1947년 미국의 벨 연구소에서 개발한 트랜지스터는 진공관보다 훨씬 작고, 전력 소비량도 20분의 1에 불과했지요. 1954년 벨 연구소가 만든 트랜지스터 컴퓨터 트래딕(TRADIC)은 에니악의 300분의 1만큼 작아졌지만, 처리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이 천체는 죽기 직전의 별이에요. 사라지기 전, 순간적인 폭발을 일으키는 모습이지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은 초신성 폭발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찬드라 X-선 망원경으로 티코를 20년째 관측하고 있어요. 2019년 10월에도 최신 이미지를 발표하면서(위 사진) 폭발로 인해 지구에서 멀어지는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90°로 기울인 것과 같은 ‘∞’을 기호로 쓴답니다. 구글, 원래 이름은 ‘구골’이다?!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케스너와 그의 조카 밀톤 시로타는 1938년 ‘세상에서 가장 큰 수’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구골(googol)’과 ‘구골플렉스(googol plex)’라는 단위를 만들었다. 구골은 10을 100번 곱한 수(1010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칼레트라’를 처방받아 복용한 뒤 증상이 호전됐습니다. 칼레트라는 200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허가한 에이즈 치료제로 ‘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라는 두 성분을 혼합해 만든 항바이러스제입니다.이들 두 성분은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물질입니다. 바이러스는 ... ...
- “지구에서 화성을 탐사하는 즐거움 느껴보세요” 전인수 NASA JPL 우주환경그룹장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바로 NASA다. 전인수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우주환경그룹장은 NASA 10개 연구센터 중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 위치한 JPL에서 20년 동안 일하며 행성 탐사 연구를 이끌어왔다. 2003년 화성에 쌍둥이 로버(스피릿, 오퍼튜니티)를 보낸 ‘MER(Mars Exploration Rover)’ 미션, 2012년 화성 표면에 착륙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성장을 돕는 대표적인 암 표지인자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ACS)’ 2018년 10월 31일자에 실렸다. doi: 10.1021/jacs.8b09037현재 서 교수는 삼성창원병원 이비인후과, 서울아산병원 안과 등과 공동으로 암, 노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찾고, 이를 이용해 ... ...
- [미국유학일기]전공, 교양, 연구까지 소방호스로 쏟아붓는 공부량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술술 읽혀요‘학생들의 입을 벌려 소방 호스로 물을 마시게 한다’캘리포니아공대 수업을 설명할 때 쓰는 표현이다. 지난 3년간 이곳에서의 공부량을 생각해보면 무리한 비유는 아닌 것 같다. 실제로 캘리포니아공대는 공대 중에서도 학과 과정이 힘들기로 유명하다. 1년에 2학기를 이수해야 ... ...
- [포토뉴스] 수학이 예측한 ‘기생충’의 아카데미상 수상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다른 작품이 받을 거라고 예측했습니다. 추측이 정확하지 않았던 이유는 아마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만든 영화는 작품상을 받은 적이 없다’는 가정 때문일 겁니다. 과거 기록까지 거스르며 4관왕을 차지하다니, 수학적 예측은 반만 맞았지만 기쁜 소식이 아닐 수 없네요!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