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을 낫게 하는 프랑스 피레네시의 온천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이같은 효험을 본 개들이 있었다. 7년생 독일 셰퍼드를 비롯해 품종과 나이가 제각각인 4
마리
의 개들이 생명을 구한 것.효험의 비결은 신비한 물에 있었다. 피레네지방이 온천지로 개발되기 시작한 1857년부터 명성을 얻어온 '살리 드 베아른'의 물이 외상입은 개들을 낫게 한 것이다. 이 물에는 ... ...
에너지 경쟁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그러나 미래에너지로 선택되기 위한 기준은 까다롭다. 「무공해성과 경제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야 하기 때문이다. 형제처럼 닮은 얼굴을 갖고 있지만 주특기는 다른 신세대에너지 후보들의 자웅을 그 신상명세서로 가늠해본다 ... ...
옛 것이 새 것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있었다. 바로 그 때 디즈니 부부를 억만장자로 만들어준 상황이 발생했다.생쥐 한
마리
가 어찌나 재롱을 피우는지 웃음이 절로 나온 것이었다."옳지. 생쥐의 모습을 만화로 그린다면 괴로운 사람들에게 큰 위안이 되겠구나." 디즈니는 '미키 마우스'라는 만화를 출판하였다. 성공이었다. 그것도 ... ...
암컷은 타고난 전략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수 있기때문이다. 딸 하나가 낳는 알의 수를 1백개라고 하면, 암컷(母)은 1백×9=9백
마리
의 손(孫)을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아들이 둘이라고 하면 손의 수는 8백, 셋이라 하면 7백…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암컷은 번식성과를 최대로 하기위해 아들을 하나로 줄이고 나머지는 모두 딸로 만들어야만 한다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볼 수 있었다. 특히 칠천도 앞바다에서 근래에 보기 힘들었던 검은목논병아리 1백50여
마리
를 발견한 것은 큰 수확.거제도 연안의 우점종은 아비류로 5백여 개체가 발견됐다. 윤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이 숫자는 해가 갈수록 줄어든다는 것. 아비는 가장 하등조류로 잘 날지 못하기 때문에 배로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하늘엔 사냥꾼 오리온이 거대한 황소를 잡기 위해 맞서고 있으며 오리온 아래에선 두
마리
의 사냥개가 토끼를 쫓고 있다. 그 사이 은하수의 엷은 물줄기 속엔 외뿔소가 사냥꾼의 눈을 피해 숨어 있다. 서쪽 지평선 위로는 바다의 왕 고래가 아직도 그 거대한 모습을 뽐내고 있다. 황소 뒷편 맹수들이 ... ...
초대형 대합 인공 양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피츠로이섬에는 현재 3만개의 대합이 서식하고 있는데, 루카스와 바커는 이를 1백만
마리
까지 늘릴 작정. 그들의 어장에서는 현재 여덟종의 대합이 양식되고 있다. 그중 두종(Tridacna crocea와 Tridacna maximas)는 식용이고 한 종(Tridacna gigas)은 수족관의 관상용이다.대합들은 해수탱크 안에서 일정 기간 자란 ... ...
♀ ♂ , 왜 같은 비율로 태어나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않는 수컷을 수없이 만들도록 진화될 것이다. 그러나 수컷의 수가 불어감에 따라 수컷 한
마리
당의 번식성공도는 저하된다. 때문에 수컷알의 비율은 저절로 감소, 50%까지 떨어진다. 즉 성비가 1 대 1이 된다.이처럼 다수의 개체로부터 태어난 새끼들이 서로 섞여 짝짓기를 할 경우, 각 개체가 각각의 ... ...
수염고래, 멸종위기 벗어나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1967년부터 보호조치가 내려져 포획이 금지됐다.미국의 조사 결과 이 고래는 현재 2만2천여
마리
로 추산됐다. 최근 일본열도의 근해에서도 이 고래가 발견됐고 일본 수산청의 조사에서도 태평양 동부와 서부에 서식하는 두개의 집단이 포착됐다.수염고래의 증가는 고래보호론자들을 들뜨게 해 다른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변형시킬 수 있는 첫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였다.긴 이름을 가진 프랑스인 쿠 루이
마리
일레르 베르니고드 드 샤르도네(1839~1924)는 누에들이 병들어 프랑스에서 성황을 이루고 있던 비단산업이 타격을 받자 천연 비단을 인조섬유로 바꿀 수 있는가를 궁리하던 중, 1884년 질산셀룰로오스를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