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침팬지들의 몸 안에 HIV를 넣어 주었을 때, 7
마리
에서 HIV의 감염이 예방됐다. HIV를 이겨낸 7
마리
의 침팬지는 거의 완전한 방어면역을 획득하고 있었다. 일시적인 감염이나 침입조차도 일어나지 않는 이른바 멸균면역(sterilizing immunity)상태를 보인 것이다.짧은꼬리 원숭이(macaque)는 HIV-2에 의하여 .. ...
암 연구에 유용한 남아프리카산 두꺼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연구센터는 매년 2천
마리
이상의 제노퍼스를 유럽 여러 나라에 수출하고 있는데 한
마리
당 가격은 1백프랑(약 1만4천원)정도다. 주고객은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독일 등이다.연구센터의 크리스티앙 펜치박사의 책임하에 사육 관리되는 제노퍼스는 고기를 먹는 종(種)이다. 그들은 쇠고기 심장부위와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아로움도 즐기는 음식이다.늦가을에 한국에서 김장을 하듯 몽골에서도 소와 양을 한두
마리
씩 잡아 고기를 얇게 썰어 바람에 말린 후 겨울양식으로 준비한다. 겨울철에는 가축의 젖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음식은 조리법이 발달되지 않아 날 것을 먹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몽골을 방문한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1천 ℓ의 동물성 플랑크톤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때 플랑크톤의 밀도는 1㎖에 5백
마리
수준이다. 멀지 않아 플랑크톤 수확량은 크게 늘어날 것이다. 타스매니아대학과 오스트레일리아의 대표적인 연구기관인 CSIRO가 공동작업을 벌여 1시간당 3.6t 동물성 플랑크톤을 얻을 수 있는 수확장치를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토리캐년 사고시에는 10만
마리
의 물오리가 죽었고, 엑슨 발데즈 사고 때에는 30만
마리
의 조류가 떼죽음을 당했다.기름의 생리적 효과는 주로 방향족 탄화수소의 생물대사작용 방해에 의해 일어난다. 기름의 독성은 수용성 성분이 얼마나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벤젠과 ... ...
앵무새·구관조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하다가 대개 3개월 쯤 지나면 말문이 열린다.한 새장에 한
마리
씩 넣고한 새장에 여러
마리
를 함께 수용하면 자기들끼리 친해져 주변이 산만해진다. 따라서 말배울 기회를 잃게 되므로 단독사육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말을 배우기 시작한 새는 1년 정도 교육에 열의를 보인다. 순간적으로 욕설이나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합한 것과 비슷한 6천7백만
마리
(1985년 통계)나 되는데, 이는 뉴질랜드 인구 1인당 약 20
마리
씩이나 소유하고 있는 셈이다.현재 뉴질랜드에는 약 3백40만명의 사람이 살고 있는데, 주로 영국계 백인(85%)과 원주민인 마오리족(12%)의 후예들이다. 인구는 대체로 도시에 몰려 있고 특히 오클랜드시 ...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구하는 일이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1985년에 이어 1987년에도 코스모스 1887호에 2
마리
의 원숭이를 실어 우주실험을 했다.1961년까지 미국과 옛소련의 동물 우주비행실험은 사람들의 본격적인 우주비행에 앞서서 각종 문제점 등을 알아보려고 한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과 옛소련에서 사람을 태운 ...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오늘날에는 인도네시아의 자바섬에 55
마리
가 생존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베트남에 15
마리
가 살고 있다고 한다.그나마 자바코뿔소의 절멸을 방지한 것은 1921년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의 식민지였을 때 설치된 우중 쿨론(Ujung Kulon) 자연보호구 덕분이다. 그리고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한 자연보존의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회복하는 능력이 빠르다는 것이 정설이다.환경보호 캠페인에서 풀 한포기, 거미 한
마리
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이는 생물종의 다양성이 생태계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이라는 의미와 상통한다.결국 흙속 미생물의 일부는 병원균으로서 작용해 특정 생물의 번식을 조절하며,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