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뉴스
"
발사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호기술 혁명]⑥통신·미사일·전력망... 軍보안기술 삼박자 맞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설명했다. 미사일 해킹 위험 낮춰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에는 미사일이
발사
된 뒤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 다급히 미사일에 공격 취소 명령을 전송해 일촉즉발의 위기에서 벗어나는 장면이 종종 등장한다. 실제로 최근 미사일 기술은 통신을 이용해 제어한다. DARPA는 이런 미사일 통신이 해킹 ... ...
화성 착륙 임박한 탐사선 인사이트 '공포의 7분'을 극복하라
2018.11.23
화성의 내부 구조를 탐사하기 위해 제작된 무인 화성 탐사선입니다. 지구로부터
발사
된 지 6개월 만에 약 1억6000만km을 여행한 후 화성 대기에 들어설 예정입니다. 착륙 과정부터 쉽지 않은 미션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인사이트가 화성에 무사히 착륙한 뒤 해야 할 임무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 ...
액체연료 안쓰는 100% 이온추진 항공기 첫 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처음에는 수백번의 시도를 했지만 스스로 이륙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새총 모양의
발사
장치를 고안했고, 이를 통해 약 50㎝의 높이에서 약 10초간 60m까지 비행시키는데 성공했다. 바레트 교수는 “사람을 태우는 것도 언젠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전력 변환 시스템부터 이온 생성을 더 ... ...
차세대 소형위성 1호
발사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발사
됐으며, 2003년엔 그 뒤를 잇는 '과학기술위성'이
발사
됐다. 2013년 한국 최초의 우주
발사
체 ‘나로호’에 실려 우주로 올라간 ‘나로과학위성’도 과학기술위성의 일종이다. 같은 해 과학기술위성 3호기 역시 우주로 올라간 바 있다 ... ...
“韓, 소형 재사용로켓 개발하면 새 시장 선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출간됐다. 이달 초에는 한국 번역본으로도 출간됐다. 이기주 항우연 한국형
발사
체개
발사
업본부 선임연구원이 기획과 번역을 맡았다. 스티넌 대표는 “지금 소설을 다시 쓴다면 재사용로켓에 수소연료 대신 메탄연료를 쓰는 것으로 내용을 바꾸고 싶다”며 “앞으로는 메탄연료가 주목을 받을 ... ...
[여기에 과학] 새에게 개기일식은 '큰 폭풍의 서막'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연구진을 각 관측소에 있는 레이더로 지상 0m부터 5000m 상공까지 레이저를
발사
한 다음 살아있는 생물에서 반사돼 오는 값을 본 것입니다. 개기일식이 최고조가 되기 전후 2시간씩 4시간 동안 이 값을 측정했고 19~20일과 22~23일 등 개기일식 당일을 기점으로 전후로 이틀간의 측정값과 비교했습니다 ... ...
왜군 벌벌 떨게 한 조선의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무더기 출토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먼 거리에 있는 적에게
발사
할 때는 목곡을 여러 번 감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적에게
발사
할 때는 목곡을 감는 횟수를 줄이는 방식이다. 비격진천뢰는 임진왜란 당시 맹활약을 했다. 위력이 대단해 한 번에 30여 명을 살상할 수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순신 장군의‘난중일기’에도 ... ...
과학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에 악셀 팀머만 단장·박남규 교수·한국형
발사
체개
발사
업본부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연구자들은 2010년부터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한국형
발사
체 연구 개발을 추진해 온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홍보유공자상에 선정된 진 센터장은 올해 5월 터진 라돈 사태 때 방사능 방재 전문가로 방사선 피폭과 방사선의 인체 영향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 정보를 ... ...
2020년 화성 가는 탐사로봇 최종 종착지는 '옥시아 플라눔'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상태다. ESA와 로스코스모스는 2020년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새 로버를
발사
할 예정이다. 이 로버는 약 8개월 뒤인 2021년 3월 21일 경 화성에 도착한 다음 역추진로켓을 이용해 표면으로 착륙을 시도한다. 표면 착륙에 성공할 경우, 최초로 화성 표면에서 2m깊이 까지 땅을 시추해 ... ...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새로운 별 생성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넓은 부분을 차지하는 우리 은하를 탐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2013년 11월
발사
한 과학기술위성 3호가 수집한 적외선 영상 자료를 분석했다. 과학기술위성3호에는 천문연이 개발한 넓은 영역의 탐사 관측에 특화된 MIRIS가 장착됐다. 연구진은 약 1년간 우리 은하면 전체에 대한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