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정수기에 도입졸업 후 무역 사업을 하던 그에게 지난해 8월 새로운 기회가 생겼다. GIST 지구·환경공학부 김경웅, 이윤호 교수가 식수 정수기용 중력식 막여과 기술을 개발한다는 소식을 들은 것. 중력식 막여과 기술은 말 그대로 전기펌프를 쓰지 않고 순수하게 중력만으로 물이 필터를 통과하게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알고 보면 느림보, 티라노사우루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여기는 ‘지구에서 가장 빠른 동물 찾기 대회’가 열리고 있는 현장입니다. 인간 대표 우사인 볼트 선수와 공룡 대표 티라노사우루스 선수를 모셔봤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 여기 근육으로 덮힌 제 몸이 보이시죠? 빠르게 달리려면 자고로 튼튼한 몸과 근육이 필요하다는 사실! 저 가녀린 다리로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감을 수 있는 밧줄이 있다. 우주선이 밧줄을 달고 지구를 출발해 우주 전체를 돌아 지구로 돌아왔다고 해보자. 푸앵카레의 추측에 따르면, 우주가 3차원 공간이고 이 끈을 잡아당겼을 때 끈이 한 점에 모인다면 우주의 모양은 3차원 구다! 만약 구가 아니라면 끈은 어딘가에 걸려 한 점으로 모이지 ...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찡하네요! 크라포드 상★ 스웨덴의 기업가 홀거 크라포드가 제정한 상으로 매년 수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천문학 분야에 수여한다. 수학자, 이런 모습 처음이야! 문학 박사: 문득 2014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 후보로 거론됐던 소피 모렐이라는 수학자가 기억나요. 취미가 춤과 새로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氵)’가 합쳐져 물이 가득차게 성장한 모양, 즉 큰 바다란 뜻을 갖게 됐답니다.시추는 지구 내부를 조사하기 위해, 또는 석유나 천연가스 등을 파올리기 위해지각에 구멍을 뚫는 걸 말해요. 세계적으로 가장 깊은 시추 구멍은 러시아 콜라반도에 있어요. 1970년부터 20년 동안 무려 12.26km를 뚫었지요 ... ...
- [과학뉴스] 타조 닮은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머리에 볏이 달리고 타조를 닮은 공룡의 화석을 발견했다.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와 뤼준창 중국지질과학원 박사, 코바야시 요시스구 일본 홋카이도대 박물관 박사 등 공동연구팀은 중국 장시성에 있는 간저우 지방에서 공룡 뼈화석을 찾았다. 후기 백악기(약 7500만 년 전)에 살았던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상당히 증가한다”며 “현재 예비설계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달 궤도선은 지구 저궤도 위성으로 개발 중인 차세대 중형 위성(500kg)과 무게는 유사하지만 안에 싣는 연료와 탱크의 무게가 300kg 정도로 약 6배나 무겁다. 2단계 달 탐사 시점은 12월 경 논의될 예정이다. ‘한국형발사체(KSLV-Ⅱ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없이 육아에 전념해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박사학위 지도교수였던 우남칠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가 일손이 필요하다며 연락을 해 왔다. 6개월간 연구보조를 했다. 이를 계기로 WISET 경력복귀 지원사업에 사전 매칭으로 지원했다. 2015년부터 연세대 자연과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회귀 물고기, 거북, 조개류인 키톤 등의 생체 내에 자철석이 들어있는데, 자철석이 지구 자기장에 반응해 길을 찾아간다는 것이다. 인간의 뇌에서 자철석이 장기기억 체계에 관여한다는 주장도 있다. 스페인 루이스 알케니스병원 연구팀은 뇌에 있는 미세한 자철석이 뇌세포가 만들어 낸 자기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우주의 모양을 관찰하려면 우주 밖으로 나가 우주를 관찰해야 한다. 지구 밖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본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는 불가능하다. 홍성욱 한국천문연구원 대형망원경사업단 과학연구그룹 연구원은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크기는 정해져 있다”며, “그 너머 우주에 경계가 있는지,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