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공간
곳
현장
자리
스페이스
지면
d라이브러리
"
장소
"(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Ⅱ 어디에 응용되나 자기부상열차에서 인조 다이아몬드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응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초청정기술은 병리치료를 위한 무균실, 방사능 사용
장소
에서의 분진제어용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응용분야의 확대 및 기술수준의 고도화를 위해 계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무중력/우주·항공산업에 필수무중력기술은 베어링용 금속진구(眞球)의 생산, ... ...
코끼리 코가 생존에 가장 중요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포르투갈인은 앙골라지방에서 4톤이 넘는 대량의 상아가 쌓인 코끼리의 무덤으로 보이는
장소
를 발견했다. 그러나 그곳엔 신체의 다른 부분의 뼈는 없었고 오히려 사람의 두개골과 목각인형이 함께 있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사람들이 상아를 구하기 위해 코끼리를 대량학살했던 곳으로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드디어 없어진다.이를 '습관화'반응이라고 하는데 모든 감각기능에 존재한다. 같은
장소
의 피부에 아픈 자극을 계속하면 몇번 한 후에는 움츠러드는 반응이 없어지고 만다. 물론 한참동안(수분 이상) 있다가 다시 자극을 하면 다시 반응을 하기는 하나 또 반복하면 없어진다.이러한 습관화 기능은 ... ...
동물들의 새끼기르기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되기 쉬우며 급속하게 발육시키려면 따뜻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어미는 알을 낳은
장소
에서 떠날 수 없게 된다. 조류는 몸이 작은 셈치고는 대개 높은 체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거의가 절식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수컷이 먹이 나르기를 전담하거나 암수가 서로 교대하거나 한다.이에비해 ... ...
두루미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등지에서 월동을 한다. 하지만 일본 북해도에 있는 것은 텃새로서 일년내내 같은
장소
에서 살고 있다. 매년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두루미는 그 외모가 고상하고 아름다울 뿐만아니라 조류가운데서 가중 품위있게 생겨 일명 학(鶴) 이라고도 부르고 있다.전해오는 전설에 따르면 악성(樂聖)인 왕산악 ... ...
고장난 핵추진 인공위성의 위험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격돌할 것으로 예상된다.이것도 방사능 확산의 우려는 없다지만 낙하하는 파편이나
장소
에 따라 심각한 사태가 될 우려가 있다.군사목적의 원자로 위성이 큰 문제인공위성은 원자로란 어떤 것인가. 그것은 발전용의 것임은 틀림없지만 시스팀이 지상의 원자력발전과는 전혀 다르다. 열전대 ... ...
예술의 경지에 이른 현대의 도청기술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속에 도청장치를 설치해 타자수가 문자를 칠 때마다 코드화된 전기신호를 발사, 도청
장소
에는 똑같은 문서가 타자된다는 것. 컴퓨터도 예외는 아니다. 컴퓨터는 메시지만을 위한 도청장치는 개발되지 않았으나, 컴퓨터가 작동할 때 발신하는 전자기장(電磁気場)을 고성능 안테나로 포착하는 ... ...
1백만년·10번 빙하가 견딜수 있는
장소
물색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있다. 네바다주 당국과 주민들은 여러가지 사정으로 네바다주가 불가피하게 핵폐기물저
장소
가 될 것은 각오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들은 그 희생의 대가로 연방정부에 엄청난 보상을 요구하고 있어 앞으로 어떤 결말이 날지 궁금한 일이다 ... ...
흙건축을 되살려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벽체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흙별돌을 제작하여 건조하려면 충분한 시간과 넓은
장소
를 필요로 하여 흙몰탈을 사용하는 미장이의 특수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물론 따로 경비를 들여 해결 할 수도 있겠으나 흙건축 기술이란 '단순성'과 '적은 투자'에 그 장점이 있기 때문에 스스로 자기집을 짓는 ... ...
화석연구의 외길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가장 큰 무연탄 탄전지대로 여러 종류의 퇴적암과 퇴적구조를 식별하는데 아주좋은 실습
장소
이다. 더욱이 삼엽층 등 동물화석과 고사리류 등 고생대 식물화석이 비교적 풍부하게 산출되고 있어 누구에나 흥미를 일으키게 하는 곳이기도 하다.이곳에서 지도교수 정창희교수님과 김봉균교수님의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