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지난 10월 13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충남 서천에 위치한 국립생태원에 모였어요. 이날 대원들은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김수환 박사님으로부터 외래어종에 대한 특별 강의도 듣고 지사탐 어벤져스와 함께 민물고기 탐사도 했지요. 외래어종, 무엇이 문제일까? “큰입배스와 블루길의 ...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지날 때는 노래를 안 불러? 혹등고래 : 응, 일본 오사가와라 고래관찰협회와 홋카이도대학교 공동연구진이 배가 지날 때 우리의 노랫소리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대. 총 26마리의 혹등고래를 분석했지. 선박이 500m 이내에서 지나갈 때는 노래를 부르는 고래가 거의 없었고, 1200m 거리에서 지나갈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1982년 미국의 심리철학자 프랭크 잭슨은 ‘매리의 방’ 생각 실험을 고안했어요. 실험은 이렇습니다. 매리는 색깔에 알레르기가 있어요. 그래서 줄곧 흑백 방에 갇혀 살며 단 한 번도 색깔을 본 적이 없지요. 심지어 흰 우유와 흰 쌀밥과 같은 무채색 음식만 먹고 살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매리는 ... ...
- [헷갈린 과학] 표범이야, 고양이야? 마게이 VS 오셀롯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타마린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서 새끼 타마린을 유인하는 모습이 브라질 아마조나스연방대학교 연구팀에게 발견된 거예요. 비록 발견 당시엔 사냥에 실패했지만, 이는 다른 동물에게서는 쉽게 볼 수 없는 기술이랍니다. 오셀롯은 몸길이 70~95cm, 몸무게 15kg 정도로 마게이보다 몸집이 약간 커요.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필요한 비료로 바꿔요. 이 비료는 식물이 흡수할 수 있지요. 연구에 참여한 워싱턴대학교의 샤론 도티 교수는 2016년에 식물이 미생물의 도움을 받으면 가뭄과 같은 나쁜 환경에서 잘 견딜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도티 교수는 중력이 작은 공간에서도 미생물이 식물에서 잘 성장할지 확인할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눈에서 더 많은 단백질이 손상되었음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마이클 델프 교수는 “눈뿐만 아니라 다른 신체 부위 손상을 막기 위한 연구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2 우주에서 재활용을 할 방법을 찾아라! 일반적으로 네 명의 우주인이 1년 동안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미생물이 이 똥을 먹고 소화하는 과정에서 전기와 물을 만드는 거예요. 영국의 바스대학교 화학공학과 미렐라 디로렌조 박사팀은 지난 2016년 오줌을 넣으면 세균이 반응해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를 개발하기도 했답니다. ● 스토리 “으악, 아무래도 아저씨를 따라잡긴 어렵겠어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작게 만드는 기계로, 10억 분의 1m의 크기를 다루는 나노기술이 필요해요. 텔로팜은 서울대학교 근처에 텃밭 ‘도시농업연구소’를 짓고 MEMS를 이용해 토마토 농사를 짓고 있지요. MEMS를 줄기에 꽂으면 식물이 물과 비료를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요. 식물은 뿌리에서 물과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중에는 여성도 있었답니다. 대표적인 사람이 컴퓨터 과학자인 마거릿 해밀턴이에요.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한 그는 NASA의 프로그램 개발에 합류했어요. 마거릿 해밀턴이 이끈 팀은 아폴로 우주선을 안전하게 달에 착륙시킨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비상 상황을 대비하여 프로그램에 추가한 경고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의 퀴즈 : 어떤 사진이 진짜 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사진은 모두 가짜 사진이에요.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연구팀이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기술을 통해 만든 거지요. GAN은 두 인공지능이 대결을 하듯 하나는 끊임없이 가짜 사진을 만들고 다른 하나는 이것이 진짜인지 가려요. 이 둘은 경쟁을 통해 배우고 발전해 결국 진짜 같은 가짜 사진을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