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없는 중국과 대만 사이 대만해협에 인공섬도 함께 만들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서울대학교 전석원 교수는 “건설 기술은 문제될 것이 없다”면서도 “충분한 지질 조사와 예산 마련이 문제일 것”이라고 말했어요. ● 해저터널이 해결해야 할 문제 지금까지 지어진 해저터널은 주로 수압을 ... ...
- [핫이슈] 크리스마스를 훔쳐라! 그린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암컷, 수컷 모두 빨갛거든요.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학교 캔 잉스 교수, 노르웨이 트롬쇠대학교 라스 포코우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난 2012년 열화상 카메라로 순록의 코를 관찰했어요. 그 결과 순록의 코에서 열이 난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연구진은 순록의 코에 있는 모세혈관이 사람보다 25% 더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우와! 엄청 커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무엇을 보고 이렇게 놀랐을까요? 바로 알을 낳기 위해 바다에서 강으로 돌아온 연어였어요. 지난 11월 4일, 대원들은 강으로 돌아온 연어를 보기 위해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남대천에 모였어요. 남대천에서 펼쳐진 연어 특별 탐사 현장으로 가 볼까요?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21세기 실크로드를 제안하다! | 2013년 9월, 중국 시진핑 주석이 카자흐스탄 나자르바예프대학교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일대일로’라는 21세기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일대’는 육상 실크로드, ‘일로’는 해상 실크로드를 뜻한다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사람 없이도 움직이는 배라니, 굉장해! 나 때는 말이야…, 저렇게 큰 배를 움직이려면 일단 이~만한 줄로 닻을 매달아서…, 어? 저기 좀 봐! 우리 때처럼 굵은 줄을 둘둘 말고 있는 선원들이 있어. 어? 그런데 왜 저 줄을 바닷속에 집어넣지? 몽골에서 만든 전기, 한국에서 쓴다! 우리가 쓰는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성경과도 같은 만화입니다. Q 만화와 곤충 공부를 동시에 하는 게 어렵진 않나요? 아주대학교 해부학과 교수면서 만화를 그리는 정민석 선생님이 한 농담 중에 좋았던 게 있어요. 학술지의 표지 논문을 12번이나 했는데, 그 이유가 그림을 잘 그려서 논문 표지가 예쁘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제가 볼 ...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 우리 몸에는 털이 나 있어. 이 털이 초음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지.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생명과학부 토마스 닐 교수는 우리 나방의 일종인 ‘캐비지트리황제나방’과 ‘나비’의 초음파 흡수량을 비교했어. 초음파를 확성기로 내보낸 뒤 돌아오는 초음파를 비교한 결과, 나방은 최대 85%, 나비는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작게 만드는 기계로, 10억 분의 1m의 크기를 다루는 나노기술이 필요해요. 텔로팜은 서울대학교 근처에 텃밭 ‘도시농업연구소’를 짓고 MEMS를 이용해 토마토 농사를 짓고 있지요. MEMS를 줄기에 꽂으면 식물이 물과 비료를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요. 식물은 뿌리에서 물과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1982년 미국의 심리철학자 프랭크 잭슨은 ‘매리의 방’ 생각 실험을 고안했어요. 실험은 이렇습니다. 매리는 색깔에 알레르기가 있어요. 그래서 줄곧 흑백 방에 갇혀 살며 단 한 번도 색깔을 본 적이 없지요. 심지어 흰 우유와 흰 쌀밥과 같은 무채색 음식만 먹고 살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매리는 ... ...
- [헷갈린 과학] 표범이야, 고양이야? 마게이 VS 오셀롯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타마린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서 새끼 타마린을 유인하는 모습이 브라질 아마조나스연방대학교 연구팀에게 발견된 거예요. 비록 발견 당시엔 사냥에 실패했지만, 이는 다른 동물에게서는 쉽게 볼 수 없는 기술이랍니다. 오셀롯은 몸길이 70~95cm, 몸무게 15kg 정도로 마게이보다 몸집이 약간 커요.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