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정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다른 바이러스 연구자 및 치료제, 백신 개발자들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조 정보를
학술
논문 사전공개사이트 ‘바이오 아카이브’에 공개했다. 동아사이언스 DB ... ...
"포항지진 물 주입에 따른 공극압 변화가 미소지진 유발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네번째 논문이다. 이전에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와 ‘지구물리학 국제
학술
지’, JGR 솔리드어스’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이 교수는 총괄단장으로, 여 교수는 국내조사단장으로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포항지진 사례를 들며 물 주입에 따른 촉발지진의 발생 과정을 ... ...
'다기관 염증증후군'사례 코로나19 기간 급증해…"관련성 추가 연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MIS는 4월 영국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들의 사례를 처음 자세히 전한 5월 7일 영국 의학
학술
지 ‘랜싯’ 논문에 따르면, 런던 이블리나아동병원 사우스탬스회복서비스센터의 소아집중치료병상 의료진은 4월 중순 8명의 어린이가 심한 염증에 의해 쇼크에 빠지는 사례를 발견했다. 이들은 열은 38~4 ... ...
"코로나19 PCR 검사, '허위' 음성 경계해야"
연합뉴스
l
2020.05.27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과학회
학술
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존스 홉킨스대학 제공] ... ...
네이처가 뽑은 논문 잘 쓰는 연구기관 1위 서울대 2위 KAIST…IBS 5년간 성장 1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가 자연과학 주요 논문 82종을 분석해 전 세계 연구기관의 순위를 매겨 발표하는 ‘네이처 인덱스’의 한국판 특집이 이달 28일 발표되는 가운데 네이처 인덱스에 발표된 올해의 한국 연구기관 순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대와 KAIST가 1위와 2위를 지킨 가운데 ... ...
'치매 유전자' 중증 코로나19 감염 위험 높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지닌 경우에 비해 중증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2배 높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의학
학술
지 ‘노인병학 : 의료과학’ 26일자에 발표됐다. APOE 유전자는 19번 염색체에 위치하는 유전자로 흔히 치매 예측 유전자로 불리는 유전자다. 원래는 지방이나 지용성비타민, 콜레스테롤 등을 수송하는 데 관여하는 ... ...
코로나19 장기화…"숨쉬기 힘든 KF94보다 덴탈마스크가 적합"
연합뉴스
l
2020.05.26
덴탈 마스크 역시 코로나19 등 감염병의 비말을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으나
학술
지 등을 통해 의료진의 공식적인 의견이 게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미나 교수는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 오피니언란에 "코로나19 유행이 장시간 ... ...
WHO 트럼프 극찬한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임상실험 잠정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잠정 중단한 것이다.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안전성 문제는 지난 22일 의학
학술
지 ‘랜싯’에 공개된 연구결과에서 불거졌다. 671개 병원 9만6000여명의 코로나19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치료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망 위험도가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 부정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리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2020.05.26
터과이즈킬리피시가 최근 척추동물 노화 연구의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Jenage 제공
학술
지 ‘사이언스’ 2월 21일자에는 색스의 ‘깨어남’이 연상되는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당시 읽어보려다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이번 한정판 광고 덕분에 ‘갑자기’ 생각났다. 미국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알레프’를 이용해 풀어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질학 분야 국제
학술
지 ‘신생대 제4기 과학 리뷰’ 6월호에 발표됐다. 네안데르탈인은 약 20만~30만 년 전부터 유럽과 시베리아 등에 퍼져 살던 친척 인류다. 빙하에 덮여 있던 북유럽 지역을 제외하고 널리 흩어져 살며 돌을 쪼아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