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치료제’로 개발할 경우 치료 효과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세포실험으로 알아냈다고 국제
학술
지‘사이언스’에 15일 공개했다. 리제네론은 유력한 항체 칵테일치료제 후보물질도 선정해 임상시험을 시작한 상태다. 같은 날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등은 코로나바이러스에 효과를 보이는 새로운 ... ...
[코로나19의 유체물리학]’변기 뚜겅 닫고 물내리세요. 바이러스 튀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형성된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물리학협회(AIP)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
지 ‘유체물리학’ 16일자에 발표했다. 사태 초기부터 지금까지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입에서 항문에 이르는 사람의 소화관에서 살아남는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 ...
[코로나19의 유체물리학]"마스크 써도 침방울 최대 1m까지 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할 때 나오는 침방울의 흐름을 예측한 연구결과를 미국 물리학협회(AIP)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
지 ‘유체물리학’ 16일자에 발표했다. 드리카키스 교수팀은 이전에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이 기침을 할 경우 침방울이 5초 안에 6m를 날아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지난달 20일에 내놨다. 기온 20℃, ... ...
[의학바이오 게시판] 생체막 모방형 물질 발라 이물면역반응 감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그룹이 20~30% 염증 반응이 낮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
지 ‘바이오매터리얼즈 사이언스’ 지난 3월 21일자 표지 논문으로 발표됐다. ■ 고려대 구로병원은 마다가스카르에 병리조직 및 세포 자동염색기와 자동봉입기를 기부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들 도구는 신종 ... ...
'배터리 천하통일' 리튬이온배터리에 도전할 고성능 나트륨이온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는 게 의의”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9일자에 발표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두 보조촉매로 이동하면서 물분자가 분해돼 수소와 산소가 생성된다. 네이처 제공
학술
지 ‘네이처’ 5월 28일자에는 파장 350~360나노미터 영역(자외선)에서 양자 효율이 96%에 이르는 광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는 일본 연구자들의 논문이 실렸다. 이들은 기존 스트론튬 티타나이트(strontium titanate) ... ...
코로나19가 드러낸 시대의 불평등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엘리시오 페레즈스테이블 미국 국립소수자보건및보건격차연구소장팀은 지난달 11일 의학
학술
지 '영국의학저널(BMJ)'을 통해 “미국 내 일부 지역에서 코로나19 환자 및 사망자가 발생한 수를 비교해 보면 백인 및 유색인 거주자 사이에 최대 2~3배 이상 차이가 난다”고 주장했다. 4월 21일에도 영국 ... ...
[과학게시판] 핵융합연, 연구자와 함께하는 온라인 멘토링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현직 핵융합 연구자와 함께하는 온라인 멘토링’ 참가자를 이달 21일까지 모집한다고 15일 밝혔다. ... 양 기관은 소재기반 정밀분석 인프라를 공동으로 활용하고 공동연구 과제를 발굴하며
학술
행사를 추진하는 등 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 ...
[의학게시판] 삼성서울병원, 메니에르병 AI 진단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삼성서울병원 제공 ■삼성서울병원은 정원호∙조영상 이비인후과 교수와 조백환 인공지능(AI)연구센터 교수팀이 메니에르병 AI 진단기술을 개발했 ... 직접 계산한 결과와 AI의 계산 결과의 일치도는 0.971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근호에 게재됐다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바이오아카이브’에 12일 공개했다. 이 논문 초안은 아직 동료평가를 거쳐 정식으로
학술
지에 발표되지 않은 상태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인체 세포의 특정 표면 단백질을 인식해 침입을 시작하게 하는 ‘관문’ 역할의 단백질로 감염 초기 과정의 핵심 역할을 한다. 먼저 이 단백질이 인체 세포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