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d라이브러리
"
종이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2천명이 넘게 만난 바 있다. 세계적인 발명품으로 손꼽히는 '이태리 타월'은 김필곤씨,
종이
음료 용기는 신석균씨, 인조과일은 홍성모씨가 발명했는데, 이들 모두 현존하는 발명가들이다.순간의 아이디어가 발명의 단초우리들의 마음속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나 '나도 좀 색다른 일을 해보고 ... ...
(4) 외국어 열등감 사라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번역대상문이 컴퓨터에 수록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번역하고자 하는 글들은
종이
위에 쓰여져 있다. 물론 문자인식 시스템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 등장하지 않고 있다.셋째 기계번역의 질이 아직도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할 정도가 아니라는 ... ...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나치의 암호문을 초당 2만5천자 정도로 번역해내는 기절할만한 속도를 자랑했다.
종이
와 연필로 끙끙대며 해독하던 시대의 사람들에게 이 콜로수스는 그야말로 거대한 악마로 보였을지도 모른다.콜로수스는 현대적 의미에서 볼 때 조금도 빠지지 않는 컴퓨터였다. 비록 그 사용범위가 한정적이긴 ... ...
공전의 히트 기록한 한글 워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문자 크기가 가변적이고 다단편집이 가능하게 되면
종이
에 인쇄될 모양을 짐작하면서 편집을 하기는 거의 불가능하고, 인쇄될 형태가 그대로 화면에 나타나면서 문서를 편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의 한글 1.51판도 기본적인 위지위그 기능은 지원하고 있지만,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건드리면 방향이 틀려지기 쉬우므로, B셔터에 릴리즈를 사용해 셔터막을 열어놓고 검은
종이
나 천으로 열었다 닫았다 하는 방법이 좋다(그림4). 이와 같이 하면 한 필름에 여러개의 달이 촬영된다. 촬영 간격은 달이 자기의 지름만큼 이동하는데 2분10초 정도 소요되므로 겹치지 않게 하려면 그 이상의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연구하다 발견된 '물먹는 재료'는 처음에는 전분계였지만 요즘은 합성고분자가 주
종이
다.고흡수성 고분자는 물을 흡수해 팽윤된 후 두부와 같은 겔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단순히 물리적으로 물을 흡수하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금방 물을 방출하는 스폰지와는 성격이 확연히 구분된다.고흡수성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정도로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다.현재 지구에 살아있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원소는 약27
종이
다(밝혀진 총원소 종류는 1백3종). 이들 27종의 구성비율은 바다와 거의 비슷하다. 생물체는 탄생 이후 30억년이라는 세월을 바다에 머물러 있었고 육지로 올라온 것은 4억년 전에 불과하다. 이 사실은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현대미술은 과학적 테크놀로지와 긴밀한 연결속에서 종래에 표현수단으로 사용했던 붓
종이
물감대신 과학의 산물인 TV 컴퓨터 비디오와 입체영상 매체인 홀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더욱 표현방법을 확대하고 메시지전달을 극대화시키고 있다.홀로그램의 과학적 개발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의심스러울 경우에는 전화를 걸어 청각을 통해 확인하기도 하고, 때로는 촉각을 사용해
종이
의 상태를 만져보기도 한다. 이때에 각종 인쇄 스타일과 금액표기색깔 및 도장날인위치 등이 너무 복잡하거나 위치가 이상할 경우에는 그 은행원은 필요이상으로 신경을 쓰게 되고 똑같은 일을 여러번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다게르는 투사된 영상을 영원히 보존하기 위해서 투명한
종이
대신에 감광유제가 도표된
종이
를 올려놓고 평면으로 압축되어진 상을 기록한 것이다. 당시 이 발명은 충격적이었다. 1940년 이전까지는 압축된 2차원 평면상을 뛰어넘어 3차원 입체 영상을 사진에 기록 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다.뒤에서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