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d라이브러리
"
종이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만들어져 있고 (이를 글자꼴 글자체 또는 폰트라고 한다) 우리는 그것을 선택만 하면
종이
에 그대로 찍힌다. 따라서 매우 빠른 속도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정해진 글자체 이외에는 입력할 방법이 없다.글자체의 다양성을 희생하고(표준화라고 좋은 방향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속도를 ... ...
3. 오토페이지를 이용한 문서편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원하는 문서를 만들어 간다. 문서 배치의 첫째는 문서양식의 설정인데 원하는 크기의
종이
위에 글이나 그림을 배치하는 작업이다. 오토페이지에서는 새로운 문서를 만들 때 가장 먼저 문서의 용지 크기, 문서의 방향과 양면편집 여부 등을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진 2)는 A4 용지 위에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한글처리가 매우 자유롭게 되었다. 속도 문제와 하드웨어 가격의 저렴화로 최근 XT기
종이
8비트 컴퓨터와 비슷한 운명을 겪고 있다. 심지어는 286 컴퓨터마저 386의 거센 물결에 점차 밀려나고 있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정반대로 바꿔주면 그 진동을 직접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일반스피커는
종이
나 수지를 사용해 진동판을 만드는데 비해 체감스피커는 진동판에 솔레노이드 코일(solenoid coil)을 붙였다.앞으로 이 제품을 차량용 침대용 소파용 조끼 벨트용으로 제작해 시판할 예정인데 이를 위해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일으켜 먹이를 잡거나 도망가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바다에 사는 새중에서 50여
종이
잘게 부서진 플라스틱 덩어리, 일회용 라이터, 병뚜껑 장난감 등을 삼키는 왕성한 식욕을 보이는데, 희생되는 숫자는 엄청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바다거북들은 비닐봉지를 자신이 제일 좋아하는 먹이인 해파리로 ... ...
다니엘 부어스틴 「발견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어망의 폐기물로 만든
종이
를 황제에게 바쳤다. 마르코 폴로는 원나라의 쿠빌라이칸이
종이
를 돈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다. 구텐베르크는 성서를 펴내려고 무진 애를 썼지만 성서를 출판한 것은 구텐베르크가 아니라 그의 인쇄기를 압수한 빚장이들이었다.그러나 민속학에서 원자의 ... ...
(3) 컬러프린터의 세계 1천6백만가지 색상 표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색을 칠하는 데도 부족한 점이 있다.정전인쇄방식이란 정전기를 이용하여 토너의 잉크를
종이
에 흡착시키는 방식으로 3백dpi 이상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며 신속한 출력속도를 자랑하지만 정전기를 이용한다는 점 때문에 온도에 매우 민감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현재 국내에는 외국산 정전기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알코올(에탄올)도 5%이내로 쓰고 있다."화장품의 원료로 쓰일 수 있는 물질은 3천~4천
종이
나 된다. 이중에서 일반화장품은 30~50종의 원료를 사용하고 저자극성화장품은 20종 이내를 쓴다"고 말한 이옥섭실장은 "일반화장품이 전체 화장인구의 0.05~0.1%의 사람에게 알레르기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면 ... ...
'보다 크게 보다 작게'가 만드는 신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깃털을 단 공이 출현한 덕분에 배드민턴은 대중적인 스포츠가 될 수 있었다.
종이
컵
종이
팩 나무젓가락 플라스틱그릇 비닐음료용기 등 단순히 재료만 바꾼 작은 발명들이 세계적인 발명품이 된 사례가 적지않다. 최근에는 속속 발명되는 신소재를 이용하여 재료를 바꾸는 발명이 더욱 활기를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제3자가 될 수 없다는 것."열대우림보호가 먼 얘기 같지만 사실 우리나라에서 쓰는
종이
등 목재품의 원료 85%가 수입원목이며 이중 42%는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열대우림에서 가져오고 있다. 목재수입량으로 보면 우리나라가 세계 2위라서 열대우림문제의 책임을 피할수 없다"는게 이경재 교수의 설명.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