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핵심은 기준이다. 우주가 두 동강이 나도 변하지 않는 기준으로 단위를 정할수 없을까. 우주에서 변하지 않는 것이라면 역시 ‘상수’가 으뜸이다. 볼츠만 상수(k)가 온도의 파트너가 됐다. 마찬가지로 질량은 플랑크 상수(h), 전류는 전자 하나의 전하량, 몰은 아보가드로 상수가 새 파트너가 된다. ... ...
- 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예외가 있으니, 바로 미적분학이다. 17세기 두 천재가 발명한 미적분학을 통해 인류는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고 현대의 다양한 사회현상까지 상세히 해석하고 예측해 왔다. 우리는 미적분학을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하지만 우리는 아직 미적분학을 제대로 모른다. 세상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믿음직한 소프트웨어가 만드는 안전한 세상과학동아 l2015년 09호
- 29명 전원이 사망했다. 사고 원인은 엔진제어 소프트웨어의 오류였다. 1996년엔 유럽우주국(ESA)이 쏘아 올린 아리안 5호 로켓이 발사 40초 만에 폭발했다. 아리안 4호기에 사용한 일부 소프트웨어를 5호기에도 그대로 사용했는데, 이때 발생한 수학적 오류를 무시했기 때문이었다. 잘못 만든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알 수 있듯이 기계항공공학부는 크게 기계를 다루는 기계공학과와 항공을 다루는 우주항공공학과로 나눠져 있습니다. 두 분야가 많이 다를 것 같지만, 움직이는 시스템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시작은 같다고 할 수 있어요.이민지: 여기서 시스템이라고 하는 건 정확하게 어떤 걸 의미하나요 ... ...
- 시력 좋은 아리랑 3A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3A호가 하늘에서 내려다본 지구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찍어 보냈어요.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 4월 14일에 처음으로 공개했지요.아리랑 3A호는 아리랑 3호가 떠 있는 높이보다 100km 정도 낮은 528km 높이에서 지구를 돌며 사진과 영상을 찍고 있어요. 고도가 더 낮기 때문에 더 선명한 영상을 찍을 ... ...
- [수학뉴스] 토성 고리의 수수께끼를 풀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만 분의 1m)부터 수 미터까지 다양합니다. 얼음 알갱이는 과거 우주에서 발생한 충돌로 생겼습니다. 이번에 연구팀은 이 얼음 알갱이들이 크기에 따라 다른 비율로 고리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토성 고리에는 지름이 약 2m인 얼음 알갱이가 지름이 1m인 얼음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대표적인 것이 토성 북극에 나타나는 ‘육각형 제트류 구름’이다. 이 구름은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스터리’로 꼽힌다. 지구가 2개 들어갈 크기의 영역 안에서 제트기류가 초속 100m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 2008년 덴마크공대 연구팀은 액체를 채운 원통형 용기를 이용해 육각형 구름이 ... ...
- [과학뉴스] 인공위성 고치는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상태를 점검하고 수리하며 연료까지 공중급유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해 7월 21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실험 배치했다. 이 로봇은 도움이 필요한 위성에 접근해 안에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넣어서 수리하고, 연료도 주입할 수 있다. NASA는 앞으로 이 로봇을 위성 궤도에 올려 다른 위성을 수리하는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재배한 첫 상추, 어떤 맛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우주 한 가운데 떠있는 우주선에서 재배한 상추는 어떤 맛일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8월 10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있는 우주비행사들이 처음 ... 우주선 안에서 자급자족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현재 유투브를 통해 상추를 먹는 우주비행사의 모습을 영상으로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입자물리학자들이 완성한 가장 정교한 우주 모형은 ‘표준모형’이다. 그런데 표준모형으로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초대칭이론’처럼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나왔지만, 아직 증명된 바는 없다. 일부 과학자들은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