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 발견, 이번에는 진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같은 고에너지 X선을 발견한 바 있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XMN 뉴튼 우주선이 수집한 X선 데이터를 분석해 이번 연구결과를 얻었다.기존에 알려진 입자들이 만들어낸 데이터와 노이즈 데이터를 제거하고 남은 미지의 데이터들의 패턴을 분석했다. 그 결과는 비활성중성미자가 붕괴될 때 발생할 ...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화성에 도착했을 때 실제 수행할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1 아무도 살지 않는 낯선 땅우주복을 갖춰 입은 MDRS의 과학자들이 조심스럽게 지질을 조사하고 있다. 사막 한가운데인 이곳에선 생명의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다.2 화성인의 눈과 발, 로버미국 브리검영대에서 개발한 로버(탐사차). 고해상도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는 가장 느린 빛의 속도는 초속 10만km 정도인 셈이다. 느려졌지만, 인류가 쏜 가장 빠른 우주선인 뉴호라이즌 호보다 여전히 500배 이상 빠른 속도다.빛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양자(광)메모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이렇게 빠른 속도는 큰 골칫거리다. 전통적인 디지털처리방식은 0과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공간과 물질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말해 주는 가장 깊이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우주가 어떻게 생겨나고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 갈지를 말해 주는 근본적인 틀이다. 그러나 다른 과학이론들처럼 일반상대성이론도 다양하게 해석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경험과 관찰을 통해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대해 온전히 이해할 수 있게 됐다. 해결해야 할 또 다른 난제에 대한 돌파구도 생겼다. 우주에 물질만이 존재하고 반물질이 없어진 이유, 즉 CP 대칭성 깨짐 문제와 중성미자의 질량 순서를 결정하는 문제다. 필자의 연구팀도 중성미자의 질량 순서를 결정하는 실험을 계획하고 있다.중성미자는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보냈죠. 세레스의 표면을 관찰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에요. 지난 달에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돈(Dawn)’ 탐사선에서 찍은 세레스 표면 사진을 공개한 적이 있었답니다. 하지만 세레스와 탐사선 사이의 거리가 멀어 빛나는 부분이 흐릿하게 보였어요.그러던 중 지난 5월 9일, 돈 탐사선은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오차는 미세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없지만, 우주과학 등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산업에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어요. 또한 “질량을 이용해 유도되는 힘, 압력 같은 단위에도 오차가 생길 수 있어, 질량의 표준을 명확하게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최근 이용복 서울교대 명예교수와 이용삼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전준혁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등은 칠정산외편의 별 목록표와 알마게스트를 비교 분석해 칠정산외편의 별 목록표가 알마게스트를 포함한 2~3개의 목록을 편집해 만든 것이라고 추정하는 연구 결과를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수성의 내부가 철로 이루어졌다는 사실 등을 알 수 있게 됐답니다.유럽우주국(ESA)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사라진 메신저호를 대신할 수성 탐사선 ‘베피콜롬보’를 만들고 있어요. 베피콜롬보는 2017년에 지구를 출발해 2024년 수성 궤도에 들어갈 예정이랍니다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반응속도를 높이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공현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항공우주기술팀장은 “현재는 1초에 20번, 즉 20Hz 수준으로 드론이 정보를 주고받지만 앞으로 드론에 탑재되는 소형 컴퓨터의 성능이 더 향상되면 1초에 최대 200번 수준까지 더 정밀한 계산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이전2392402412422432442452462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