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산 똑똑한 쥐 탄생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빠져나가 정상 농도를 유지한다. 연구팀은 칼슘 통로를 만드는 유전자를 고장내
신경
세포 안의 칼슘 농도를 보통 쥐보다 높게 유지하자 쥐의 학습능력과 기억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신 박사는“인간에게 똑같은 유전자를 고장낼 수는 없지만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과정을 ... ...
소리 전달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유전자 정보에 의해 만들어지는 난청단백질이 소리 자극에 반응해 칼슘 등 양이온을 청각
신경
세포 안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소리가 청각세포신호로 바뀐다는 사실을 밝혔다.김 박사는“연구결과를 이용하면 청각장애나 노인성 난청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의한 비특이적 증후군」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것인데, 생리적으로 무해한 자극이 자율
신경
계를 거쳐 자극 부위에서만이 아니라 먼 부위까지 병변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자를 구성하는 약 300여 종의 소립자 중의 하나 유럽 합동원자핵 연구소와 프랑스의 원자연구소가 280억 eV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의 질이 극대화될 것이다. 우리의 뇌 안에는 서로 통신하면서 뉴런(
신경
세포)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인터넷에도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칩들이 장착될 것이다. 이를 통해 모든 감각을 통제할 수 있는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이 가능해질 전망이다.영화 매트릭스에는 현실세계와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은 약물에 대한 감수성을 담당하는
신경
전달물질이다. 이 수용체에 이상이 생기면 약물 중독에 빠질 위험이 있다. 하지만 도파민 수용체 형성에 미치는 DRD 2 & 4의 역할은 극히 미미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업체는 이 유전자의 이상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핵심 첨단기술에 인지과학이 포함되는 까닭이다. 물론 인지과학도 마이크론(10-6m) 단위의
신경
세포에서 나노 수준의 구체적인 생체전달분자로 내려와 있기도 하다.인지과학과 첨단과학기술의 만남이 보여주는 미래상은 SF소설과도 같다. 보고서에는 NBIC가 인간의 수행능력 향상이라는 기본 목적뿐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나타나고 있다. 예전에는 절대적인 양이 부족했기 때문에 사실 과일의 품질에 대해서는
신경
쓸 겨를이 없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농생명기술이 발전하면서 과일의 생산량이 늘고 있고, 외국에서의 수입도 급증하고 있다. 생산농가 입장에서 좀더 고품질의 과일을 생산하고, 생산된 과일 중에서 좀더 ... ...
잊혀진 컬럼비아호의 희생자 거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아라베라에게 주어진 임무는 무중력 공간에서 집을 짓는 것. 무중력 환경이 생체의 중앙
신경
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이 실험에서 거미들은 실패를 거듭하다가 마침내 훌륭한 거미집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거미는 최근에도 다시 한번 우주로 향했는데, 아쉽게도 지난 2월 공중에서 폭발한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변환시켜 생체에 전달하는 조작 혈압 · 심장박동 · 피부온도 · 근긴장(筋緊張) 등 자율
신경
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자기의 의지로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없는 불수의활동(不隨意活動)들이다 세균 · 곰팡이 · ... ...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진피에 존재하는 전구세포(SKP, SKin derived Precursor cell)는
신경
세포, 지방세포, 근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최근 보고됐다. 또한 피부 속 지방 조직에 존재하는 간충직 줄기세포는 연골, 뼈 등으로 분화할 수 있다.무엇보다 피부는 가장 손쉽게 성체줄기세포에 접근할 수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