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새로이 발생하는 것이다.인지심리학에서는 두뇌 속에 있는 타고나거나 학습된 결과로서
신경
세포들로 형성된 패턴을 ‘스키마’라 한다. 스키마는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패턴을 정신 속에 창조할 수 있다. 각 스키마는 상대적으로 얼마나 긴요한가에 따라 권력을 잡거나 권력에서 밀려난다.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시신이나 피를 먹어서는 안됐다. 또한 포어족에서는 1960년대 ‘쿠루’라는 근육과
신경
마비로 죽는 질병이 창궐한 적이 있는데, 그 원인은 프리온에 의한 감염으로 규명됐다. 더욱이 병인론적 조사 결과 여성과 어린이들이 주로 감염됐고, 이는 그들이 주로 죽은 여자 친족의 골을 과거에 먹은데서 ... ...
신경
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작품은 그 자체가 과학연구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신경
세포들이 어떻게 서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지, 어떤 지역에서 더 강한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그림을 그리는 로봇 팔을 세포들과 연결한 것입니다.이번 아트보트 전시회에서 로봇 출품자들의 ... ...
짠맛 신맛 가려내는 전자혀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측정한 전기신호는 데이터처리부로 보내져 분석된다. 연구팀은 데이터분석에 인공
신경
망(artificial neural network)과 주성분 분석(PCA) 등의 컴퓨터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컴퓨터가 한번 맛본 것을 기억하고 새로 맛본 결과와 비교하면서 맛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 것이다.연구팀은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론가들이 해답을 내놓아야 할 성질의 것은 아닌지 모른다. 어쨌든 21세기 초반에
신경
과학의 발달로 인해 기억과 관련된 뇌의 구조가 밝혀지고 기억 기능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이 파악될 터이므로 나노기술로 기억력을 회복시킬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만도 없을 것 같다.특히 ‘엑스트로피 ... ...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고기를 먹었기 때문에 치명적인 퇴행성 뇌질환에 감염됐다는 것이다. 영국 퀸스퀘어대
신경
학연구소의 존 콜린지 박사는 과거 뉴기니 포어(Fore)족의 약 10%가 쿠루라는 질병으로 죽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1920년경 쿠루가 처음 발병한 후 해마다 포어족 인구의 약 1%가 전염돼 사망했다. 사망한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즉 줄기세포가 발생과정을 거쳐 안정된 형태로 수렴하면 머리카락 세포나 손톱, 뼈세포,
신경
세포 등 특정 기능을 가진 하나의 세포가 된다. 이들은 잠재적으로 다른 세포가 될 가능성을 자신으로 흡수함으로써 세포의 한 종류로서 이름을 올렸다.생태계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종의 수는 이론적으로 ... ...
우울증 유발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2배 이상 차이가 난다고 밝혔다.연구진은 뇌세포 사이에서 ‘행복’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조절하는 ‘5-HTT’ 유전자를 연구했다. 5-HTT 유전자는 길이에 따라 장형과 단형 두가지 형태가 있으며, 단형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장형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 비해 감정적인 ... ...
한국산 똑똑한 쥐 탄생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빠져나가 정상 농도를 유지한다. 연구팀은 칼슘 통로를 만드는 유전자를 고장내
신경
세포 안의 칼슘 농도를 보통 쥐보다 높게 유지하자 쥐의 학습능력과 기억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신 박사는“인간에게 똑같은 유전자를 고장낼 수는 없지만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과정을 ... ...
소리 전달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유전자 정보에 의해 만들어지는 난청단백질이 소리 자극에 반응해 칼슘 등 양이온을 청각
신경
세포 안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소리가 청각세포신호로 바뀐다는 사실을 밝혔다.김 박사는“연구결과를 이용하면 청각장애나 노인성 난청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