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다이슨 나무가 광합성을 통해 석유나 알코올을 생산한다면 미래에는 태양계 밖으로 인간을 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우주 거주지라그랑주점에 띄워진 물체는 다른 천체들과 중력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어떤 쪽으로도 끌려가지 않고 안정된다. 따라서 라그랑주점은 우주 거주지나 먼 우주로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렇다고 해도 우리가 사는 우주의 시작과 끝을 궁금해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감히 인간이 감당하기조차 어려운 규모의 우주를 끝없이 관측한 결과 빅뱅이라는 시작을 밝혀냈듯이, 오늘날 암흑에너지를 찾아 헤매는 과학자들이 우주 종말의 비밀을 속 시원히 밝힐지도 모른다. ▼관련기사를 ... ...
- 개의 기원은 아시아가 아니라 유럽?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또 연구진은 분석에 쓰인 고대 화석 18종 모두 1만 8000년 이전의 것들인 점을 들어 늑대가 인간에게 길들여지기 시작한 시점이 최소 1만8000~3만 년 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시기는 유럽 사람들이 농사가 아닌 수렵과 채집으로 생활을 영위하던 때다.연구진은 “늑대가 사람들과 함께 사냥을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어렵지 않게 이용할 수 있지만, 난로에 불 지피는 일은 절대 못할 것 같은, 딱 도시형 인간이라는 뜻이었다. 그런 그녀가 그 순간 그렇게나 능숙해 보일 수 있었던 건 오로지 아이를 꼭 찾아내겠다는 마음 때문이었다. 그런 적극적인 모습에 윤희나는 마음이 조금 누그러졌다. 유수프 박사가 말했다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분야의 연구자와 만나기 위해서는 오픈마인드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관계를 맺는 방법을 잘 알아야지요. 지금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특히 석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바라고 싶은 것은 동료, 선후배 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라는 겁니다. 지금 옆에 있는 이들은 연구현장에 나가서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등 6개 대학에서 연구용으로 휴보를 구입해 갔다. 가격은 대당 5억 원이 넘는다. 인간형 로봇은 일본의 아시모 등이 유명하지만 연구용으로 실제 판매된 것은 휴보2가 세계에서 처음이었다. 최근에는 세계적 IT기업 구글에서도 휴보 2대를 구입했다. 오 교수는 미국 공동연구팀과 함께 미국 국방성산하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활동으로 일어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아직도 지구온난화가 확실한 게 아니라느니, 인간 때문에 일어난 게 아니라느니 하는 말이 나오는 데 이런 주장에 쐐기를 박은 것이다.➊ 온실기체 -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와 해양 산성화산업혁명 이후로 인류는 계속 온실기체를 배출해왔다. 화석연료를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도전의 현장으로 함께 가보자.210월 3일 오전 11시. 전남 고흥행 버스가 사당역에 섰다. 인간동력항공기경진대회에 참가하는 서울 지역 학생들을 나르기 위한 버스였다. 기자도 취재를 위해 동승했다.버스는 오후 5시가 돼서야 전남 고흥에 들어섰다. 황금빛으로 물든 논밭 사이 길을 따라 10여 분을 ...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소설의 이론)별이 보이지 않는 시대다 보니, 별을 보며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을 찾고 영감을 얻던 시대가 언제였는지 까마득하다. 별과 우주에 대해 과거 어느 때보다 잘 알고 있는 과학의 시대지만, 정작 우리는 일상에서 별을 보거나 만날 일이 거의 없다. 별과 사람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빅데이터 열풍과 함께 생명정보학은 생물학의 역사를 다시 쓰는 첨단 분야로 떠올랐다. 인간이 지닌 30억 쌍의 DNA 염기서열을 모두 분석하는 유전체학(게노믹스)이 대표적이다. 미생물의 유전체를 다루는 천 교수의 연구는 그 중 독특하다. 미생물은 유전체가 다른 생물에 비해 작은 편이다. 하지만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