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의 기원은 아시아가 아니라 유럽?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또 연구진은 분석에 쓰인 고대 화석 18종 모두 1만 8000년 이전의 것들인 점을 들어 늑대가 인간에게 길들여지기 시작한 시점이 최소 1만8000~3만 년 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시기는 유럽 사람들이 농사가 아닌 수렵과 채집으로 생활을 영위하던 때다.연구진은 “늑대가 사람들과 함께 사냥을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렇다고 해도 우리가 사는 우주의 시작과 끝을 궁금해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감히 인간이 감당하기조차 어려운 규모의 우주를 끝없이 관측한 결과 빅뱅이라는 시작을 밝혀냈듯이, 오늘날 암흑에너지를 찾아 헤매는 과학자들이 우주 종말의 비밀을 속 시원히 밝힐지도 모른다. ▼관련기사를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다른 생물이 함께 살고 있는 지구의 환경을 보호하고 가꾸는 일은 아닐까요.한 사람의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극히 미미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경험이 있습니다. 미지의 대륙을 향해 폭발적으로 번져나갔고 정교한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셀 수 없이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했습니다. 다채로운 그 ...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소설의 이론)별이 보이지 않는 시대다 보니, 별을 보며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을 찾고 영감을 얻던 시대가 언제였는지 까마득하다. 별과 우주에 대해 과거 어느 때보다 잘 알고 있는 과학의 시대지만, 정작 우리는 일상에서 별을 보거나 만날 일이 거의 없다. 별과 사람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활동으로 일어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아직도 지구온난화가 확실한 게 아니라느니, 인간 때문에 일어난 게 아니라느니 하는 말이 나오는 데 이런 주장에 쐐기를 박은 것이다.➊ 온실기체 -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와 해양 산성화산업혁명 이후로 인류는 계속 온실기체를 배출해왔다. 화석연료를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어렵지 않게 이용할 수 있지만, 난로에 불 지피는 일은 절대 못할 것 같은, 딱 도시형 인간이라는 뜻이었다. 그런 그녀가 그 순간 그렇게나 능숙해 보일 수 있었던 건 오로지 아이를 꼭 찾아내겠다는 마음 때문이었다. 그런 적극적인 모습에 윤희나는 마음이 조금 누그러졌다. 유수프 박사가 말했다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싶은 일을 찾는 계기가 됐다. 바로 노화를 정복해보고 싶다는 꿈이다. “당시 1983년부터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회자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게놈이라는 것을 완벽하게 다 컴퓨터로 분석해서 이해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고2 때 게놈 연구를 해야겠다는 결정을 했습니다. 그 때 8비트 컴퓨터가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분야의 연구자와 만나기 위해서는 오픈마인드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관계를 맺는 방법을 잘 알아야지요. 지금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특히 석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바라고 싶은 것은 동료, 선후배 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라는 겁니다. 지금 옆에 있는 이들은 연구현장에 나가서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등 6개 대학에서 연구용으로 휴보를 구입해 갔다. 가격은 대당 5억 원이 넘는다. 인간형 로봇은 일본의 아시모 등이 유명하지만 연구용으로 실제 판매된 것은 휴보2가 세계에서 처음이었다. 최근에는 세계적 IT기업 구글에서도 휴보 2대를 구입했다. 오 교수는 미국 공동연구팀과 함께 미국 국방성산하 ... ...
- [화보] 이슬람으로 떠나는 기하학 산책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것을 매우 불경스러운 일로 여긴다. 이 때문에 이슬람 예술가들은 예로부터 자연이나 인간을 그대로 형상화하지 않는다.대신 자연을 있는 그대로 모방하기 보다는 일정한 모양으로 표현하거나 추상화해왔다. 이러한 이슬람 예술가들의 감각은 ‘아라베스크’에서 절정을 이룬다. 아라베스크는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