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네가 먹는 초콜릿은 진짜 초콜릿이니?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카카오 닙’이라고 한다. 모든 초콜릿은 이 카카오 닙에서 시작된다.카카오 닙은
인간
이 혀로는 알갱이를 느낄 수 없는 20μm 이하로 간다. 카카오 열매에 들어있는 지방 성분 때문에 마치 가루를 액체에 반죽한 것 같은 상태인 ‘카카오 리쿼’가 된다. 여기서부터 카카오 리쿼는 두 가지 경로로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두 개의 줄로 바뀐다.여기서 우리는 아주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관측의 주체는
인간
이 아니라는 거다. 아니 지능을 가진 어떤 존재도 아니다. 풀러렌이 공기분자와 부딪혀서 어느 슬릿을 지났는지 ‘우주’가 원리적으로 알 수 있으면 관측이 일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측을 물리학자들은 ... ...
감정이 다 보여요. 느낌 아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인간
고유의 신체 감각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지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로
인간
의 감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감정 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어요 ... ...
오래된 나무가 지구를 지킨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정도라는 것. 연구팀은 “거목이 대기 중의 탄소를 줄이는 데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만큼
인간
의 탄소배출 때문에 일어나는 지구온난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거목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라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1월 15일자에 발표됐다 ... ...
동작 그만! 인산염 뺐다고 꼼수 부리냐?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쳤을 때, 커피믹스로 상한섭취량을 넘기려면 무려 70~110개를 먹어야 합니다.세상은 넓고
인간
군상은 다양하기 그지없으니 커피믹스를 매끼 밥그릇에 담아 퍼먹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는 못하겠습니다. 하지만 정상적인 식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이 걱정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게 분명합니다. 결국, ... ...
지구온난화는 죄가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것”이라고 주장해 화제가 됐다. 기후는 자연변동성과 지구온난화의 ‘합작품’물론
인간
이 만들어낸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아예 배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구 기후가 변하는 폭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북극진동은 지구온난화와 관련 없이 원래 커졌다가 작아지는 ... ...
양자역학이 무거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배우는 일은 그리 대단한 일이 아니다.” 뭐라고? 근데 나는 왜 이해를 못하지? 논리적인
인간
이 아니구나. 좌절.양자역학에 대한 우리의 ‘직관’은 자동으로 ‘어렵다’는 말과 연결된다. 수십 년 전에 리처드 파인만도 “양자역학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말했으니 맞는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가늠조차 하기 힘들다. 그러나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되리라는 점은 확실하다.
인간
의 상상력은 광대한 이 우주의 상상력에 비하면 너무나 보잘것없으니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Part 2.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동토 지역이 많은 러시아, 캐나다 그리고 미국에서 활발한 편이다. 하지만
인간
의 겨울잠유도 연구는 학계에 공개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정부가 비밀리에 지원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20년 안에 다가올 화성 유인탐사에서 우주인 생존을 위한 비법이 무엇일지 눈여겨보자.▼관련기사를 ... ...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3년 10대 연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데 성공했다.이번에 선정된 과학 뉴스에는 생명과학 분야가 많았다. 카페인을 첨가해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얻는 데 성공한 기술, 사람의 장기를 본떠 ‘미니 장기’를 만드는 기술, 필요한 백신을 구조적으로 설계해 만드는 기술 등이 꼽혔다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