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2,9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전병 치료의 새 시대 열어
과학동아
l
199204
이 플라스미드는 세포 분열시에 자세포(子細胞)로 분리되지 않고 모세포(母細胞)에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복제원은 복제는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염색체를 분리시키는 데에는 솜방임을 곧 알게 되었다.그후 1980년에 미국 산타바바라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학의 클라크(Clarke)와 카본(Carbon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윙윙거리며 하늘을 지켜보는 광경은 무척이나 믿음직했을 것이다. 1944년 독일은 마지막
남아
있는 로켓포인 V-1을 모두 영국 런던을 향해 쏘았다. 그러나 M-9 덕택에 V-1의 약 90%는 도중에서 격추되고 말았다. 마치 걸프전에서 패트리어트 미사일이 이라크의 스커드미사일을 속속 격추시켰듯이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04
함께 살펴봐야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대장경의 제작과정에 대해서는 일체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절에서 구전돼 내려오는 얘기나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목조물의 제작방법에 견주어 생각할 수밖에 없다.대장경이 보관된 장경각(藏經閣) 입구에는 목판의 재료로 쓰인 자작나무의 모형이 전시 돼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03
같은 금이 있음을 알았다. 그 금이 간 곳에 먼저 실험에서 사용했던 니켈 화합물이 소량
남아
있었다. 그는 니켈 화합물과 알루미늄 알킬이 함께 에틸렌의 저압 중합을 개시하였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후 지글러는 전이금속의 염화물과 알루미늄알킬의 조합을 조직적으로 연구하여, 드디어 19 ... ...
Genes In Action 활동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199203
하는 생물들을 보호하지 않았다.이 지구에 인간들과 인간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만
남아
있는 상황을 상상해 보라. 인류는 그렇게 오래 살지 못할 것이므로 이러한 상상은 불가능한 것이겠으나 만약 그럴 수 있다고 한번 가정해보자. 내 장담할 수 있거니와 우리는 적재적소를 채우는 수백만종의 ... ...
알프스의 미이라 '외츠'정체 드러내
과학동아
l
199203
놓여 있었다. 특히나 그가 사용했던 연장의 나무손잡이들이 하나도 상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다.하지만 고고학자들의 열광과는 달리 이 청동기인은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간의 때아닌 소유권분쟁을 불러 일으켰다. 오스트리아가 이 미이라를 산에서 옮긴 직후 이탈리아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03
그러나 길었던 겨울의 그림자는 3월 남쪽과 서쪽 하늘에 여전히 화려한 1등성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 밤 10시 경이면 겨울밤을 밝히던 황소자리 오리온자리 그리고 겨울철의 삼각형이 서쪽 지평선을 향해 내리막 길을 걷는 것이 확실히 보인다. 겨울의 뒷편에 나타난 쌍둥이자리의 카스토르와 ... ...
The Park Phenomenon 공원현상
과학동아
l
199203
적합하다)인 맨하탄 편암의 노두(露頭)가 있는데 빙하시대에 얼음에 긁힌 자국이 아직도
남아
있다.어떤 사람들은 센트럴 공원엔 숲이 너무 우거져 있고 나무들이 적당히 솎아내어지지 못했다고 말한다. 반면 필자부부는 나무가 많은 것을 좋아하는데 이것은 어쩌면 우리 두사람이, (지구상의 ... ...
「고삐 풀린 망아지」 옛소련 핵무기
과학동아
l
199203
다중의 안전장치에도 불구 전술핵무기중 일부는 해외로 유출돼 잘못 쓰여질 가능성이 있다.소비에트 연방, 즉 소련이 붕괴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은 그동안 소련측이 보유했던 ... 태세가 아니다. 소련 붕괴 이후에도 핵무기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악마'로 당분간
남아
있을 듯하다 ... ...
꿈,뇌간서 전기신호로 발생한 영상과 감정의 뒤범벅
과학동아
l
199203
불필요한 기억을 정리해내는 신진대사의 하나일까. 최근 과학자들은 인체의 수수께끼로
남아
있는 꿈의 영역을 뇌 속의 신경전달물질 기능을 추적해 해명하고 있다.잠자고 있을 때의 뇌기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우리가 꿈이라고 알고 있는 신비한 심상을 그려내는 신경세포와 정보전달물질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