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2,992건 검색되었습니다.
4. 이상뇌파로 질병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208
다른 뇌파도 없어진다. 요사이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뇌사의 경우 대뇌기능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뇌파도 전혀 보이지 않는다.뇌파의 진폭은 깨어있는 상태에서 알파파는 20~60㎶(microvolts), 베타파는 10~30㎶ 정도이다. 따라서 이 진폭이 지나치게 증가 또는 감소돼 있는 경우, 비정상상태로 간주할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08
않는다는 점. 그러나 에너지효율이 화력발전의 35~40%에 머문다는 점은 아직 숙제로
남아
있다. 난 바이러스 진단 시약 개발토끼 쓸개에 형성된 면역물질 이용난의 잎에서 흰색의 작은 반점이 발견되면 일단 바이러스감염을 의심해야 한다. 이 반점이 점점 커져 검은색으로 바뀌면 어쩔 도리없이 난의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07
것만 같다. 하지만 언제까지 푸른 바다가 사람들의 가슴속에 영원한 동경의 대상으로
남아
있을 수 있을까? 올여름 엄마 아빠를 따라 해수욕장에 피서를 다녀온 어린이에게 바다를 그려보라고 한다면 아마도 도화지에 쓰레기가 밀려온 더러운 해변을 그려 놓을지도 모른다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07
할 수 있게끔 복원된다면 고대로켓사에서는 신기원을 이룩하게 된다. 신기전은 설계도는
남아
있어도 성능에 관련된 기록이 없어 애를 먹었는데 복원실험이 이루어진다면 성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복원된 제품은 EXPO 항공우주관에 영구히 보관될 예정이다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07
고등생물의 단백질 유전자를 게놈에 있는채로 미생물에 넣으면, 잘려나가야 할 부분이
남아
그대로 있기 때문에 단백질을 제대로 합성하지 못한다. 그러나 단백질 합성의 주형RNA로부터 합성한 cDNA를 미생물에 적절하게 넣으면 그 단백질을 대량 합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물체가 합성하는 모든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07
항체의 유무가 판별된다. 즉 AIDS 양성이면 푸른 색으로 변하고, 음성이면 흰색으로
남아
있게 된다. 무렉스가 내놓은 이 AIDS 진단시약은 검사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종전에는 수시간이 걸렸다) 특별한 검사장치를 요구하지 않아 매우 간편하다. 그러나 AIDS양성 판정에 있어서 애매한 부분이 제기돼 ... ...
(3) 컬러프린터의 세계 1천6백만가지 색상 표현
과학동아
l
199207
아니라 백터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므로 속도가 느리며 펜 사용상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고, 색을 칠하는 데도 부족한 점이 있다.정전인쇄방식이란 정전기를 이용하여 토너의 잉크를 종이에 흡착시키는 방식으로 3백dpi 이상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며 신속한 출력속도를 자랑하지만 정전기를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07
등 오랜 지질시대를 통해 반복돼 왔다. 하지만 빙하의 원인규명은 아직 미해결인 채로
남아
있다.현재를 간빙기로 간주하고우리 인류의 관심은 앞으로 지구의 기후는 어떻게 변할까 하는 문제다. 앞으로도 지구상의 모든 자연현상이 지금처럼 자연법칙에 잘 따른다고 가정하면 언젠가는 또다른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07
때문이다. 한때 원시시대의 바다속을 누비던 두족류의 1만종중에서 7백종만이 아직도
남아
있다. 두족류는 8개 혹은 그 이상의 팔이 머리를 둘러싸고 있으며 날카로운 턱안에는 먹이를 거칠게 문지르는 치설이 있다. 강한 외피근육은 재빠른 동작을 가능케하는 분사추진시스템을 통제한다. 동작이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07
'우주는 무한한가 유한한가' 이 명제는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아니면 어느 순간에 다시 수축해 무한 밀도의 한점이 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돼 있다. 외부 은하들이 그 거 ... 누가 그 큰 구조물을 만들었을까? 이것 또한 현대 천문학자들에겐 커다란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