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일을 시키기 위한 명령, 즉 작업지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 명령은 알파벳이나
숫자
로 구성되어 있으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다. 컴퓨터는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내용이 있으면 입력된 문자를 하나하나 검토하여 메모리에 올라와있는 COMMAND.COM이라는 명령어 해석기의 내부명령어와 비교를 해본다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여학생의 수는 1천2백8명. 물리학 계열의 여학생 총수 3천3백90명보다도 훨씬 떨어지는
숫자
다.한편 통계학과 계산통계학과 응용통계학과 전산통계학과 전자계산학과 등을 포함하는 범(汎)전산통계 계열학과에는 90년 말 현재 7천1백37명의 여학생들이 적을 두고 있다. 또 대학원 석사과정에 1백61명,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4천종만 이 양서류다. 이들은 모두 크기가 작다. 오늘날 지구상에서 양서류는 그
숫자
가 줄어들고 있으며 어떤 종은 사람들이 알을 먹는 물고기들을 생식시킴에 따라 멸종돼 가고 있는가 하면 물론 수질오염과 환경의 파괴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많은 사람들은 양서류를 요리할 음식물이나 ... ...
3. 국내 비디오텍스 현황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위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10~20% 정도가 화상정보를 이용한다고 가정해도 엄청난
숫자
임에는 틀림이 없다. (표 4) (표 5)는 한국 PC통신의 하이텔 이용자 실태를 나타낸 것이다(데이콤의 PC서브는 정확한 집계가 나오지 않아 생략함). PC통신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게시판 기능과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효율적일는지 모른다. 이는 태양중심부의 온도가 더 낮음을 의미하고 따라서 적은
숫자
의 중성미자만을 허용함을 뜻한다(이 이론은 심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태양중심부의 양성자와 양성자간의 핵융합반응은 전자중성미자를 생산하는데 고에너지와 저에너지라는 두 속도로 나타난다.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들의 해부학적 특징을 파악하게 됐다. 이들의 두개골은 이빨 모양이나 함몰공의
숫자
가 현생 파충류와 아주 유사한 반면, 엉치뼈 등뼈 또는 다리뼈의 구조는 판이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당시 파충류 화석 연구의 선구자였던 오웬(Owen)교수는 색다른 파충류인 이 거대한 동물들에게 걸맞는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북극에는 새가 대단히 적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그
숫자
가 불어나는데, 서식밀도는 1제곱마일당 적은 곳은 9.6마리, 많은 곳은 5백44마리에 이른다. 그러나 온대지방과 숲과 늪지역의 1천~1만1천7백85마리에 비하면 대단히 적다.모기 나방이 파리 땅벌 등 작은 ... ...
새끼 낳는 「태생」개구리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처럼 올챙이를 거치지 않는 '직접발생'을 위해서는 많은 난황이 필요하며 알의
숫자
를 줄일 필요가 있다. "직접발생을 하는 개구리는 아메리카대륙에 뿐만아니라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된다"고 두엘만 박사는 말한다. 전세계적으로는 약8백종. 발견된 개구리의 약20%를 ... ...
남성의 정자(精子)수가 현격하게 줄었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는 것이 정상이다. 스카케바에크 박사에 따르면 1940년대는 이 수준이었다고 한다. 이
숫자
가 5백만개 이하로 떨어지면 생식능력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즉 불임남성이 돼버린다는 뜻. 아직 구체적인 수치는 발표하지 않았지만 현대에는 5백만개 이하의 정자수밖에 갖지 못한 남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 ...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학자도 드물뿐만 아니라 거미에 관심을 갖고 거미 생태를 추적하는 아마추어들도 매우
숫자
가 적다. 그 결과가 아직 5백50여종에 머무르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일본만 해도 거미를 좇는 아마추어 연구자들이 5천명이나 된다. 이에 비해 우리는 고작 40여명. 1%도 안되는 비율이다. 거미를 연구하는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