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허셸의 발견으로 인해 얻은 2422라는
숫자
와 1771년에 메시아의 발견으로 얻은 2478이라는
숫자
를 모두 갖게 되었다.메시아의 기록에서는 "M46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이 성단이 M46보다 좀 더 크지만 성운기는 포함하지 않는다"라고 했다.■M93큰 개자리의 뒷다리를 이루는 몇개의 밝은 별들 ... ...
독창적 기술개발 없이는 공업발전 힘들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내용은 흔히
숫자
나 수식으로 표현되지만 기술의 내용은 제품으로 표현되는 수가 많다. 후진국이라도 세계적인 과학자는 나올 수 있지만 기술 특히 산업기술분야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가령 인도는 아직도 공업적으로 후진국에 속해 있지만 이미 1930년대에 라만이란 걸출한 과학자가 나와 노벨상을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프로그램이 중단되었다면 반드시 config.sys 파일에 files=〈
숫자
〉부분에서
숫자
를 현재의
숫자
보다 크게 잡아야 한다.컴퓨터 속도를 빠르게 - buffers컴퓨터는 가장 최근에 사용했던 명령을 다시 사용하는 빈도가 높다. 그런데 명령어가 메모리에 남아 있다면 재차 실행시켰을 때 빨리 수행될 수 있지만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세월이 흐름에 따라 세포면역을 주도했던 CD-4림프구가 차츰 파괴돼 줄어들고, 반대로 HIV
숫자
는 점차로 증가된다. 이는 곧 면역기능의 상실을 뜻한다. 그 결과로 기회감염과 악성종양 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 마지막 단계를 AIDS라 부르고 있다.다른 여러 질병에서와 마찬가지로 AIDS의 경우에도 질병의 ... ...
3차원 전자학술지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활용돼 왔다. 그러나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에 한계를 보여(1초당 2백만비트) 많은 문자와
숫자
들을 통신하고자 할 때 어려움이 따랐다. 이것이 슈퍼자넷의 탄생배경.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통신을 하게 될 슈퍼자넷은 매초마다 1억4천만비트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데 장차 1초당 10억비트까지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만들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현재 미국과 러시아가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에 버금가는
숫자
다. 우리가 그토록 우려했던 북한의 플루토늄 생산량이 95년까지 50㎏ 정도였으니 일본과도 벌써 단위부터 다르다.더구나 일본은 세계가 인정하는 전자왕국이다. 엄청난 핵잠재력에 첨단 마이크로전자기술을 ... ...
3.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대부분은 HYPERDKX를 사용하면 된다.DEVICE=C : \ HYPER \ HYPERDKX. EXE C : 1024 CW : 512C : 뒤의
숫자
는 도스에서의 캐시 크기이고 CW : 뒤에는 윈도우즈에서 사용할 캐시 크기를 지정해 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하이퍼 캐시가 설치되었을 때 나타나는 메세지를 생략하는 OR, 쓰기캐시인 스테이지 라이트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개정되기도브레이어호가 쏟아놓은 8만5천t이라는 기름의 양이 도대체 어느 정도인지
숫자
만으로는 잘 실감이 나지 않는다. 10t을 적재하는 유조차에 싣는다면 8천5백대분, 만약 가정용 맥주병에 담는다면 약 2억병이 넘는 양이다. 브레이어호사고의 유출량은 역대 발생한 대형유조선 유출사고중 ... ...
1 586 칩 펜티엄 출현예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10월 발표했다. 인텔이 586 칩의 명칭을 이제까지와 달리 펜티엄으로 정한 것은 386 486 등의
숫자
는 모방을 하기가 쉽다는 점을 들어 경쟁업체들이 모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인텔이 경쟁업체들의 추격을 따돌리고 기술력을 과시한다는 전략 아래 야심작으로 개발하고 있는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병원성 미생물은 거의 없고 흙속에서 흔히 발견되는 비병원성 미생물들이 거의 비슷한
숫자
로 존재함을 발견했다. 이러한 실험결과로 그는 다음과 같은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논리적으로 생각할 때 병원성 미생물들이 인간의 주검과 함께 토양에 유입되지만 그 병원성 미생물들이 토양에 오래도록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