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
연관
사이
연결
접촉
인연
관여
d라이브러리
"
관계
"(으)로 총 6,37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지진파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진파는 밀도가 큰 매질에서 빠르게 진행 한다는 관측적 사실에도 불구하고, 지진파
관계
식의 밀도항이 분모에 나타나는 모순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강성률과 체적탄성률이 밀도에 의존하는 값으로서 밀도가 증가할 경우, 강성률과 체적탄성률의 증가율이 분모의 증가율보다 훨씬 크기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끝나는’ 만남이 많아졌다. 그래서 자기가 원하는 것만 얻고 난 뒤 은혜를 갚지 않고
관계
를 단절해버려도 아무도 벌을 주지 못한다. 공동체에서 퇴출시키는 일도 불가능해졌다. 결국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가 오랫동안 생존하면서 능력을 키워나가고 진화해갈 수 있는 바탕이 돼버린 셈이다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람들은 인육 사건이 역겨운 행위라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도덕성을 판단할 때 전혀
관계
가 없는 주변 환경의 청결도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셈이다.사실 이런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1987년 KAL기 폭발사건이 났을 때 우리나라로 범인이 인도되기 직전까지만 해도 분노로 들끓던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해조류는 붉은색 광합성 색소를 주로 갖고 있을 것이다. 요컨대 빛의 파장과 수심의
관계
때문에 환경의 차이가 발생했고, 깊은 곳으로 갈수록 홍조류가 많이 살게 됐다. 3. [난이도 상] dN/dt=rN 형태의 단순한 수리적 모델은 개체군이 무한정 커질 수 있음을 내포한다. 하지만 실제로 개체군의 크기에는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많이 생기며, 당분이 많으면 많을수록 안토시아닌이 많이 생성된다.단풍이 온도와
관계
있다면 우리나라는 어디서부터 단풍이 들까. 보통 우리나라의 단풍은 산의 정상부터 시작해 산아래 쪽으로 하루 약 40m씩 내려온다. 그리고 북쪽부터 시작해 남쪽으로 하루 약 25km씩 남하한다. 따라서 1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현상도 로그함수로 해석할 수 있다. 거듭제곱을 함수로 확장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관계
를 이용해서 많은 현상을 수학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뿐만 아니라 로그는 물리적인 양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자연현상의 단위에도 쓰인다. 지진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위 리히터는 지진파의 최대 ... ...
잘 쓰면 약이 되지만 잘못 쓰면 독이 되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관련이 없기 때문이지. 즉 서로 인과
관계
가 성립되지 않는데 통계 자료만 보고 인과
관계
가 성립된다고 착각하면 안 돼. 그런데 왜 서로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일까? 그건 이 둘에게 똑같이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이 있어서야. 바로 날씨지. 날이 더울수록 모기도 늘고, 아이스크림도 많이 팔리거든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하다시’는 수학, 화학, 물리 등을 수준 높게 가르쳤어요. 그리고 공부뿐아니라 인간
관계
를 중요하게 여기도록 교육을 했지요. 또한 이스라엘 학교에서는 처음으로 아랍어를 가르치는 자유롭고 열린 학교였답니다. 이런 학교 생활 덕분에 요나트 박사님은 지금도 열린시각을 갖고 있어요. ... ...
우리나라 학생의 뛰어난 등호 이해력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수학 교과서에는 학생들을 위한 좋은 예제가 많으나 미국의 수학 교과서는 등호에 대한
관계
형 예제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나타내는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종종 촌수와 부르는 호칭을 헷갈리기도 해.
관계
를 나타내는 숫자인 촌수를 부르는 말로 쓰는 경우지.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삼촌이야. 많은 사람들이 아버지나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삼촌이라고 부르는데 잘못된 표현이거든. 삼촌이라고 부르는 것은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