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단위"(으)로 총 2,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0배 더 빠른 USB메모리 개발 가능해졌다2015.06.21
-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황 교수팀은 메모리 소자 하나에 0과 1을 표시하는 기본단위인 비트를 3개까지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이같은 소자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전극층-발광층-메모리층-전극층’을 쌓은 메모리 구조를 만들어 메모리 소자에 3비트를 저장했다. 그 결과 기존 대비 ... ...
- 킁킁, 냄새맡는 실 나왔다2015.06.17
- 성능이 유지되며, 센서의 굵기를 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부터 밀리미터(㎜)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다. 전력 소모도 거의 없다. 이 센서를 정수기 필터로 제작할 경우 수질 경보, 소방대원의 화재진압 작업복 등에 적용해 위험상황 모니터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앞으로 ... ...
-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차세대 전자소자 개발2015.06.16
- 잘라낸 것을 말한다. 연구진은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해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의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계산한 결과 두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 나노리본의 선폭이 2.5nm 이상이면 안정적으로 원하는 층만 반금속으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두 층 가운데 원하는 층만 ... ...
- 인터넷 1000배 빨라진다…40만 배 강력한 빛 만드는 법 찾아2015.06.15
- 빛을 한 점에 모아야 한다. 하지만 빛 자체가 가진 회절(回折) 현상 때문에 수 nm 단위 이하로 빛을 모으는 건 불가능했다. 연구진은 전파 발생장치를 이용해 빛의 회절현상을 상쇄하는 방법으로 빛을 3차원 구조의 4nm급 갭-플라즈몬 안테나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3차원 나노 공간 ... ...
- UHD인듯 UHD 아닌 TV동아일보 l2015.06.04
- 해상도가 2880×2160인 제품도 있어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다. ‘K’는 1000을 뜻하는 단위(Kilo). 4K는 4000을 의미한다. 가로선 한 줄에 화소가 약 4000개에 이른다는 의미로 3840개를 반올림해서 부르기 편하게 4K라고 하는 것이다. 박 씨는 “2880×2160은 4K가 아닌 3K에 가까운 건데 같은 UHD TV로 봐도 되는 ... ...
- 60m 떨어진 CCTV가 당신을 보고 있다2015.06.03
- 3000만 원)보다 비싸지만 종합통제실 내에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만들지 않아도 되고, 7~8m 단위로 CCTV를 설치하지 않아도 돼 전체적인 설치비용은 더 저렴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 연구원은 “현재 국내 기업체에 기술을 이전한 상태로 내년 말 또는 2017년 초부터 상용화 될 예정”이라며 “한국과 ... ...
- ‘힘세고 오래 가는’ 리튬이온전지 나온다2015.05.28
- 수 있다. - 포스텍 제공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50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의 구멍이 고르게 퍼져 있는 게르마늄 산화물에 금속, 탄소를 더한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충전 과정에서 게르마늄과 리튬이 반응하면서 부피가 증가해도 뚫려있는 구멍이 좁아지면서 전극이 ... ...
- 수시선발 70% 육박… 한국사 3등급 넘으면 무난동아일보 l2015.05.14
- 때문이다.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의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은 음대를 제외한 모든 모집단위에서 4개 영역(국어, 수학, 영어, 탐구) 중 3개 영역 이상 2등급 이내다. 일반전형은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1단계에서 서류 평가로 2배수를 뽑고 2단계에서 서류와 면접 점수를 합산해 선발한다. 정시는 ... ...
- 분자 속 전자 궤도 보는 새로운 ‘눈’ 얻었다2015.05.11
-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펨토초(1000조 분의 1초)라는 극도로 짧은 시간 단위에서 발생하는 분자의 운동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펨토초 레이저를 활용했다. 펨토초 레이저를 원자 또는 분자에 쏘아 주고, 이때 되돌아 나오는 고차조화파를 측정해 정밀하게 분석해 분자 내 다중 전자궤도의 ... ...
- 낮에는 전기 만들고, 밤에는 전광판으로 2015.05.11
- 처리해 전자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줬다. 그 결과 광전소자의 휘도(luminance·빛의 단위 면적당 밝기 정도)는 기존 소자보다 5배가 향상된 545cd/㎡가 됐다. 또 태양전지 효율도 기존보다 30% 향상된 16.3%까지 높아졌다. 송 교수는 “용매 처리라는 간단한 공정만으로 페로브스카이트 광전소자의 효율을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