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단위"(으)로 총 2,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英-佛 절대온도(K) 논란, 한국인 과학자가 해결2015.10.30
- ‘켈빈 전쟁’이 한국인 과학자에 의해 ‘평화적으로’ 끝났다. 켈빈(K)은 절대온도 단위로 영하 273.15도를 0K으로 나타낸다. 2018년 개최되는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는 켈빈의 국제 표준이 새롭게 결정된다. 이를 앞두고 최근 10여 년간 전 세계 표준 선진국들은 더 정확한 켈빈 값을 구하기 위해 ... ...
- 아폴로 호 달 샘플에 묻은 유기물의 출처는 지구!2015.10.29
- 2~42.7ppb(1ppb는 10억분의 1)의 낮은 농도로 아미노산이 검출됐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기본 단위로 피부와 머리카락, 근육 등 생명체의 구성성분이다. 연구팀은 액체의 성분을 분석하는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UHPLC)’와 입자의 질량을 측정하는 ‘비행시간질량분석기(FOT MS)’를 활용해 ... ...
- 값비싼 나노 촉매 10분의 1 값에 만든다2015.10.27
- 이용해 10억 분의 1m 단위의 나노입자를 값싸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각종 촉매나 연료전지 전극 등 에너지 화학분야 산업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성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료전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팀은 포도당 분말을 이용해 ... ...
- 무인자동차에 출근 맡기고 통역 앱으로 바이어와 대화 술술2015.10.16
- 등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인자동차의 시력이 좋아야 한다. ETRI는 10cm 단위로 거리를 인식하고 최대 1km까지 내다볼 수 있는 3차원(3D) 카메라 ‘세미눈’을 개발해 현재 이 기술을 토대로 연구소기업을 설립했다. 지금까지 무인자동차용 3D 카메라를 개발한 나라는 미국이 유일할 만큼 이 ... ...
- [2015 노벨 화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 DNA 자가 복구의 비밀을 밝히다동아사이언스 l2015.10.07
- 때문입니다. 올해 노벨 화학상은 어떻게 이런 복구 시스템이 아주 세부적인 분자 단위에서 기능을 수행하는지 밝혀낸 3명의 선구적인 과학자에게 돌아갔습니다. DNA를 구성하는 뉴클레오티드는 아데닌(A), 티민(T), 시토신(C), 구아닌(G)의 4가지 염기를 결합해 염색체를 만든다. 이때 아데닌은 ... ...
- 와이퍼 필요없는 자동차 나올까2015.10.06
- 유리의 주성분) 초정밀 가공에 성공했다. 유리 입자를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단위로 자유롭게 가공하는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와이퍼가 필요없는 자동차나 얼음이 달라붙지 않는 항공기 개발 등으로 이어질 걸로 보인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희탁, 박정기 교수 공동 연구팀은 단순한 ... ...
- 아이폰 ‘뽑기’ 논란, 2nm 차이는 성능에서 얼마나 차이 나나 2015.10.04
- 경우 발열에 더 강하고 배터리 소모량도 더 작게 제작할 수 있다는 뜻이다. 회로선폭의 단위인 1nm는 10억분의 1m로, 머리카락 두께의 5만분의 1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이 작은 차이가 기술력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김상욱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회로선폭이 좁아지면 ...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09.27
- 그 가운데 드디어 우리 인류의 직계 조상이라고 할 ‘호모 속(속은 종보다 큰 분류 단위. 일종의 계통)’ 인류가 탄생했다. 초기 호모 속의 대표는 호모 하빌리스(손쓴사람)였다. 최초로 도구를 썼을 것이라 추정한 인류다. 곧이어 지금부터 약 200만 년 전에 호모 에렉투스가 탄생했다. 호모 ... ...
- 신소재 개발 청신호… 나노 소재 내부구조 처음으로 밝혔다2015.09.23
- 때 발생하는 현상을 들여다보는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나노미터(1㎚=10억분의 1m)단위의 현상을 직접 관찰하는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 연구원은 머리카락 약 10만분의 1 수준까지 분석가능한 수차보정 주사투과전자현미경으로 나노 상태의 전자세라믹 소재에서 나타나는 전자물리 ... ...
- 고교 국영수 부담 줄이고 진로선택 ‘3과목 이수’ 의무화동아일보 l2015.09.23
- 줄이겠다고 했으나 강제성은 없다. 가령 ‘무게의 단위를 평가할 때 1g과 1t 사이의 단위 환산은 다루지 않는다’는 식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지만 이를 교사들에게 강제할 방법은 없다. 고교 진로선택 과목이 일부 학교에서는 제대로 운영되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왔다. 영미 문학 읽기, 공학 일반,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