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동시에 생산해 내고 두 단백질이 오른쪽으로 조금씩 퍼져나갈 때, 레프티는 오른쪽에
위
치한 세포들에 먼저 도착해서 노들이 수용체에 붙는 것을 막습니다(
위
그림). 즉, 레프티는 오른쪽에 있는 세포들이 왼쪽정체성을 갖는 것을 방해합니다. 실제로 레프티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없애면 노들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평생 연구할 수 있는 분야를 찾다가 1999년부터 단백질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장익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전공석좌교수는 물리학으로 박사학 ... 신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현재 김 연구원은 이 내용을 박사학
위
논문으로 준비 중이다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있다. 이때 물가가 매년 조금 씩 오르므로, 미래의 이익과 비용을 현재 가치로 표현하기
위
해 약간 조정해줘야 한다. 만약 고객이 매년 같은 금액만큼 음식을 산다고 가정하면 고객 생애 가치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난다. 이 공식은 고객을 유지하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창의인재과 수학 담당 장학사는 “수학문화가 대중화되면 쉽게 바뀌기 힘든 시험
위
주의 학교 교육도 바뀔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수학도 즐길 수 있다는 인식을 널리 퍼뜨리는 게 경남수학문화관의 목표”라고 밝혔다. 수학문화를 퍼뜨리는 일은 이제 막 자리 잡기 시작했다. 앞으로도 꾸준히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동물들도 너희처럼 씨앗을 퍼뜨리니?식물은 씨앗을 멀리까지 성공적으로 퍼뜨리기
위
해 맛있는 열매를 만들어 동물이 먹도록 해요. 열매를 먹은 동물은 배설물을 통해 씨앗이 더 먼 곳까지 퍼지게 돕지요.하지만 연구팀은 “염소를 통해 배설물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도 씨앗을 멀리까지 ... ...
[과학뉴스] 롱패딩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거
위
나 오리털 패딩도 입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대체하기
위
해 북극곰의 털을 모방한 충전재나 수분이 닿으면 열을내는 소재 등을 개발하고 있다 ... ...
[과학뉴스]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양파 껍질을 이용해서 실험 장치를 만들었다. 금 전극
위
에 양파 껍질을 입히고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고무(PDMS)등을 덧붙인 뒤 전선을 이었다. 그 결과 에너지 변환 효율이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뭇잎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정도의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초점을 맞췄다면 철도연은 스스로 물건을 인식해서 적재하는 기능까지 더했다. 이를
위
해 로봇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했다. 물건의 종류와 모양, 크기 등을 파악하고 분간해 원하는 물건을 집어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물건을 배달 순서에 맞춰서 적재하는 기술도 연구 중이다. 철도연은 내년에 이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얼굴 인식 기능도 학습으로 발전지금도 뇌 과학자들은 얼굴 인식 과정을 밝혀내기
위
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에는 얼굴 인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발표됐다. 여기서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얼굴을 인지하고 구별하는 기능은 뇌의 선천적인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참여한 김민우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경영관리팀장은 “고피인용도 논문 수는 최상
위
수준의 연구에만 해당하는 만큼 모든 연구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필수 지표로 사용하기는 어렵다”며 “주요 국가의 평균 피인용횟수를 넘긴 논문 수로 대체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