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쏜 뒤 반사되는 시간을 통해 거리를 아는 방법과 비슷해요. 실제로 연구팀은 테일러 빙하
위
에서 아래쪽을 향해 촘촘하게 전파를 쏘고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빙하 속 지형의 깊이를 알아냈지요. 그 결과 피의 폭포에서 최대 45m 떨어진 곳까지 바닷물이 있단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족보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청령포는 곡류가 발달하면서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곳이에요. 그래서 청령포 주
위
삼면이 강물에 둘러싸여 있죠. 게다가 육지로 이어지는 유일한 연결로는 높은 절벽으로 막혀 있답니다.한마디로 곡류와 절벽으로 사방이 가로막힌 외딴 섬이나 다름없는 곳인 거예요. 청령포에는 숲이 우거지고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
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계속 보시려면?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
험해!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 ... ...
[과학뉴스] 롱패딩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거
위
나 오리털 패딩도 입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대체하기
위
해 북극곰의 털을 모방한 충전재나 수분이 닿으면 열을내는 소재 등을 개발하고 있다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초점을 맞췄다면 철도연은 스스로 물건을 인식해서 적재하는 기능까지 더했다. 이를
위
해 로봇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했다. 물건의 종류와 모양, 크기 등을 파악하고 분간해 원하는 물건을 집어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물건을 배달 순서에 맞춰서 적재하는 기술도 연구 중이다. 철도연은 내년에 이 ... ...
[과학뉴스]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양파 껍질을 이용해서 실험 장치를 만들었다. 금 전극
위
에 양파 껍질을 입히고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고무(PDMS)등을 덧붙인 뒤 전선을 이었다. 그 결과 에너지 변환 효율이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뭇잎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정도의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것이다. 기존 스마트폰에 있는 보안 기능인 비밀자가 일일이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위
로 그림을 그리거나 센서에 손가락을 갖다 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아이폰 X은 카메라에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도 스마트폰이 알아서 사용자를 인식한다. 훨씬 빠르고 간편해졌다. 얼굴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맞춰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이 대거 공개돼 있는데도 말이다. 아마도 막연하게 무작
위
함수로부터 심층신경망을 강화학습으로 만들 수는 없다는 생각에 시도조차 하지 않고 포기했거나, 간단한 가능성만 확인하고 완성시키지 않은 채 중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제 관건은 차별화된 결과를 내는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농도 증가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를 억제하기
위
한 기술 개발과 환경 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지구 전체로 보면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탄산염광물 형태로 암석 속에 갇혀 있다. 동물의 호흡 등 생명 활동이나 화석 연료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평생 연구할 수 있는 분야를 찾다가 1999년부터 단백질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장익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전공석좌교수는 물리학으로 박사학 ... 신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현재 김 연구원은 이 내용을 박사학
위
논문으로 준비 중이다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