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에 불과하다. 여기서 옹스트롬은 원자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1Å=${10}^{-8}$cm)인데 보통 원자의 직경은 1~4Å이다(원자덩어리 속의 원자간거리는 5Å 정도).아이글러박사팀은 IBM이라는 '원자글자'를 쓰기에 앞서서 7개의 제논원자로 고리모양을 만들었다. 아마도 이 고리가 ... ...
- 컴퓨터의 땀을 닦아라!과학동아 l1992년 06호
- 내는 셈이다. 대략 5mm×5mm의 크기의 면적에서 10W의 열을 내는 꼴. 따라서 열유속(heat flux, 단위면적당 열전달률)은 5×${10}^{5}$W/㎡으로 계산된다. 이 양은 태양표면에서의 열유속과 비교했을 때 약 20분의 1이다. 그러나 이 열을 식힌다는 관점에서만 보면 태양표면보다 칩의 열을 식히는 작업이 훨씬 ... ...
- 핵사찰로 주목받는 우라늄과 플루토늄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방사성 동위원소란?물질의 특성을 잃지 않는 물질의 최소 구성 단위는 분자다. 이 분자는 원자들의 모임으로 돼있고 원자는 다시 핵과 그 주위를 도는 전자들로 구성돼 있다. 핵은 그 핵을 구성하는 핵자라고 불리우는 양성자와 중성자들로 구성돼 있는데 그 종류는 양성자와 ... ...
- 겨울잠의 신비 밝혀 인간질병 고친다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 있었다.즉 동면중인 곰은 요소를 분리하여 단백질의 구성단위인 아미노산을 만드는 것이다. 이 놀라운 순환 프로그램에 필요한 에너지는 저장된 지방층에서 나온다. 연구원들은 곰이 체내에서 요소를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일 것으로 믿고 있다.인간은 ...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과학동아 l1992년 05호
- 판막을 다른 사람에 이식하는데 성공했다.이보다 앞서 83년에는 장기라기보다는 세포단위의 이식이긴 하지만 성모병원 김동집박사팀이 첫 골수이식 수술을 해 백혈병에 걸린 20대 선원을 살렸다. 반면 89년에 국내 처음으로 시도됐던 췌장이식은 수술 8일만에 거부반응으로 인해 이식했던 장기를 ... ...
- 태양전지 거북선·자동차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축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납 배터리로는 어렵다는 것이 개발팀의 중론이다. 따라서 단위 무게당 충전용량이 큰 특수 납 배터리를 개발해 사용할 계획이다. 납 배터리보다 성능이 좋은 니켈아연 배터리나 산화은 배터리도 있으나 가격도 비싸고 입수도 어려워 선택에서 제외됐다. 솔라카보다 ...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에너지원이라고 불리는 핵융합의 사정은 과연 어떠한가.핵융합반응은 핵분열에 비해 단위질량당 질량감소가 크다. 중수소(D)핵과 삼중수소(T)핵이 융합되는 경우, 질량감소는 원래 질량의 3백분의 1 정도까지 커진다. 이때의 방출에너지는 1g당 8백억㎈로 핵분열의 네배에 이른다.핵분열보다 네배 큰 ... ...
- 몸무게과학동아 l1992년 04호
- 활용된다. 체격지수=$\frac{체중}{신장²}$으로 산출되는데 이때 신장의 단위는 m, 체중의 단위는 ㎏으로 환산한 뒤 공식에 대입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남녀의 정상 체격지수를 각각 22.4, 22.5로 잡고 있다. 또 한국 일본에서는 남녀 공히 22가 정상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에는 자기키를 제곱한 ... ...
- (1) 생명의 신비 추적, 구조식 그린다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유전병에 관련됨을 알고 수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다. 그 결과 독립된 유전정보단위인 유전자들이 염색체 위에 일렬로 배열돼 있음을 알게 되었고, 특정유전자가 특정염색체 위에 위치해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예로 1911년 월슨(E. B. Wilson)은 색맹과 관련된 유전자가 X염색체 상에 위치해 있음을 ... ...
- 유전자검색 어떻게 활용되나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왜냐하면 탐식자 DNA 방법은 비교적 많은 양의 DNA가 필요하여 적어도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DNA가 있어야 유전자형 감별이 가능한데, 실제 범죄 현장에서 발견되는 혈흔이나 머리카락 음모 등에서는 이와 같은 많은 양의 DNA를 추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범죄수사에서 탐식자 DNA에 의한 유전자형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