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2년 08호
- 시장에서 팔 수 있는 순록의 고기는 1㎏당 6천 베크렐(becquerel, 1베크렐은 방사능측정의 단위로 1초에 한개의 핵이 붕괴되는 것을 말한다) 혹은 그 이하의 방사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스웨덴에서는 그 한계가 1천5백베크렐이다.체르노빌사고가 있은 지 8개월 후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일부에서는 ... ...
- 2. 국산 DTP 프로그램과학동아 l1992년 08호
- 폰트(outline font)를 사용해 글자의 크기를 3포인트에서 9백99포인트(35.4㎝)까지 1포인트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글자의 모양은 굵은체 경사체 윤곽체 윗첨자 아랫첨자 밑줄글자 등 1천여 가지의 글자 모양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한 개의 아웃라인 폰트를 화면과 프린터 폰트로 사용하기 때문에 ...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엄청난 속도로 진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현실은 어떤가.cDNA를 찾아서 분석하는 단위기술들은 국내에서도 지난 10년간 축적돼 왔다. 현재로선 기술적으로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연구의 규모와 속도에서 엄청난 차이가 난다. 우리는 한 연구자가 1년에 5천염기쯤의 순서를 밝힐 수 있는 ...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과학동아 l1992년 07호
- 1pc 떨어진 곳에서 1초의 실제 길이는 약 20만분의 1pc인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1천문단위)에 해당된다. 우리은하 중심에서 1초의 길이는 약 0.05pc이고, 안드로메다은하에서는 3pc, 처녀자리 은하단에서는 60pc에 해당된다. 지구 대기에 의한 분해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광학망원경을 싣고 ...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집합 우주내에 분포하고 있는 은하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큰 거리의 단위로 보면 은하들이 서로 모여 그룹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들을 우리는 은하군이라고 부르며 작은 것은 수십개부터 크게는 수만개은하로 구성돼 있다. 이들의 크기는 그 지름이 3백만광년 이상이며 ...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해답(1)식 (14)에서 만일 우리가 ${M}_{1}$=16, ${M}_{2}$=0으로 놓고 P의 단위로 년, a의 단위로 AU를 사용하면 16${P}^{2}$=${a}^{3}$이 된다. a=1이므로 P=1/4, 즉 그 행성의 1년은 우리 지구 시간으로 3개월이 된다.(2) 지구의 반경을 R이라 하고 인공위성이 추진되어 올라간 후의 ...
- (2) 컬러모니터와 비디오카드 슈퍼 VGA카드 상용화 한창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보낼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속도나 모니터의 리프레시 주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멀티프리켄시(multifrequency)각 모니터마다 지원하는 수평 수직 주파수가 있다. 슈퍼 VGA나 8514를 사용하려 한다면 멀티프리켄시 모니터가 필수적이다. 간혹 다중 주파수 모니터 또는 VFM이라 ... ...
- 다니엘 부어스틴 「발견자들」과학동아 l1992년 07호
- 12시간으로 제정했으나 그 하루라는 것이 햇빛의 길이로만 측정한 것이어서 시간의 단위는 장소와 계절에 따라 다르게 마련이었다. 그런데 중세의 수도사들은 밤중이라도 정해진 시간에 반드시 기도를 드려야 했다. 바로 이 필요성 때문에 컴컴한 곳에서도 작동하는 기계식 시계의 발명이 앞당겨진 ... ...
- 퀴즈와 팀 경주로 학습의욕 높인다과학동아 l1992년 07호
-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인데 학급을 몇 개의 실험팀으로 나누어 특정의 과제를 팀단위로 협동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팀대항 경주(Team Race)활동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예2). 즉, 같은 조건하에서 부여된 실험과제를 가장 잘 하는 팀을 선정한다. 이런 장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과제는 가능한한 ...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과학동아 l1992년 06호
- 훨씬 더 까다롭고, 일상 생활에서 우리가 쓰는 말 '가속도'와도 많은 차이가 있다. 그리고 단위도 cm/초²과 같이 주어져서 물리적 의미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물체의 운동을 기술함에 있어서 가속도는 속도가 변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꼭 물체가 점점 빨라지는 경우에만 가속도가 있는 것이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