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내손으로 디자인한다! 수학동아-넥슨 게임 카페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일할 수 있다.★관련 학과게임 디자이너 : 학과와 상관 없음.게임 프로그래머 : 컴퓨터공학과, 게임학과, 미디어학과 등.★기업 탐방! 넥슨은 어떤 회사일까?넥슨은 게임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통해서 전세계에 재미를 선사하는 기업이다. 1996년 세계 최초 그래픽 온라인 게임인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각 부분부분에서 원하는 대로 꺾여 휘돌아가게 하기 위해서였다. 김경식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가 바로 이런 한계를 최근 극복한 것이다. 세계 최초의 투명망토 개발자인 스미스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했다는 사실도 화제가 됐다. “투명망토에 이런 한계가 있다는 걸 안 순간, 이거다 싶었습니다. ...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샤론 워커 교수는 산화그래핀이 생태계에 미칠 잠재적 위험에 대해 미국 ‘환경공학과학’ 저널 3월호에 발표했다. 그래핀이 자연의 물에 흘러들어갔을 때 분해되지 않고 멀리 퍼진다는 것이다. 특히 바람, 증발, 비 등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표층수에서 더 안정적으로 오래 남는다고 밝혔다 ... ...
- [뉴스포커스] 수학자를 꿈꾼 소년,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김영훈 교수 이야기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학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한 달에 한 명에게만 수여된다.김 교수는 26년 전인 1988년에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해 동상을 수상하는 업적을 거뒀다. 그때부터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행보가 기대된다. Q&A 송호준 작가의 학창시절은 어땠을까?고려대와 카이스트 출신의 공학도시니 수학도 잘하셨을 것 같아요. 수포자에게 한 마디 하신다면? 학생 때 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동기가 있으면 잘 할 수 있어요. 하지만 학교에서는 이런 동기를 잘 만들어 주지 않는 것 같아요. 저 ...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2중 배달 시스템은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옥토USRG를 개발한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1.5kg 이하의 무게라면 어떤 물건이든 배달할 수 있지만 학교 인근 딸기농가를 돕는 차원에서 딸기로 결정한 것”이라며 “앞으로 학내 서류 및 소형 물품 전달용으로 발전시킬 계획도 갖고 있다”고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붉은 조명을 비춰서 잘 보이게 찍었다. 권오철권오철 천체사진가는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했고 NASA의 ‘오늘의 천체사진’에 3번 선정됐다. 현재 ‘내셔널지오그래픽’ 영문 인터넷판에 사진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2009 세계 천문의 해’ 특별 프로젝트인 TWAN(The World At Night)에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봄, 봄, 봄, 봄, 봄이 왔어요~♪ 따뜻한 바람이 불고 단단했던 흙이 부드러워지면서 누군가 나를 깨웠어. 으하암~, 잘 잤다! 찌뿌둥한 몸을 쫘악 펴는 순간 떠올랐어. 그런데 여긴 어디? 나는 누구? 으아~, 궁금해!나는 누구일까작고, 까맣고, 예쁘지도 않고…. 나는 누구일까? 알고보니 난 씨앗이래.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래리 페이지와 같은 데이터과학자를 꿈꾸며 도전하는 청년이 있다. 바로 서울대 산업공학과 박사과정 중인 박은정 씨다. 박은정 씨는 지난 해 뜻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팀을 이뤄 삼성전자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한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투모로우 솔루션'에 참여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 ...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혹시 여행가서 피폭을 당할까 불안하다면…, 이 말을 참고하렴.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김은희 교수는 “1~2주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 머물며 안전 관리 기준을 통과한 음식물을 먹었을 경우 내부 피폭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했어. 몸에 들어온 방사성 물질의 대부분은 소변이나 땀 같은 체액의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