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필요한 시설을 만드는 곳입니다. 세상의 밑그림을 그리고 싶은 학생들이 건설환경공학부에 와서 잘 배우고, 지구를 살리는 지도자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시간 만에 재료 무게의 80%에 해당하는 물을 머금었다.연구팀은 자연을 모방한 ‘생체모방공학’을 이용해 이 재료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아래 오른쪽 사진)는 건조한 환경에 살지만 미세한 나노 구조로 된 등껍질을 이용해 공기 중의 물을 모아 먹고 산다.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매우 낮아진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문제도 해결했다.2012년 8월,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잘 휘면서도 충·방전을 1만 번 반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해 저널 ‘나노레터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딱딱한 광물인 운모로 만든 기판 위에 양극재료인 ‘리튬코발트산화물’을 ... ...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새하얀 털과 빨간 눈을 가진 손가락 두 개만한 쥐’라는 말을 들으면 자동으로 연상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네, ‘실험용 쥐’입니다. 가장 잘 알려져있고, 널리 쓰이는 실험 동물이지요. 하지만 실험 동물이라는 단어를 들은 과학동아 독자 여러분 중 대부분은 일단 인상을 찡그리실 겁니다. 아 ...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제습기의 소비전력 당 제습능력이 에어컨보다 우수하다. 김용찬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같은 전기에너지를 에어컨은 냉방과 제습에 나눠 쓰고 제습기는 제습에만 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제습기는 그럼 아예 쓸모가 없다는 말일까? 그렇지만은 않다. 여기저기서 제습기를 구매해 아주 잘 ...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30% 이상을 속이면 통과라는 기준에 근거가 없다는 지적도 있다. 김대식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는 “30%라는 기준은 그 대회의 자체 규정으로 학계에서 완전히 합의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왜 30%였던 걸까? 튜링은 1950년도 논문에서 “50년 뒤에는 컴퓨터가 흉내 게임을 잘 할 수 ... ...
- [뉴스포커스] 수학자를 꿈꾼 소년,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김영훈 교수 이야기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학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한 달에 한 명에게만 수여된다.김 교수는 26년 전인 1988년에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해 동상을 수상하는 업적을 거뒀다. 그때부터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봄, 봄, 봄, 봄, 봄이 왔어요~♪ 따뜻한 바람이 불고 단단했던 흙이 부드러워지면서 누군가 나를 깨웠어. 으하암~, 잘 잤다! 찌뿌둥한 몸을 쫘악 펴는 순간 떠올랐어. 그런데 여긴 어디? 나는 누구? 으아~, 궁금해!나는 누구일까작고, 까맣고, 예쁘지도 않고…. 나는 누구일까? 알고보니 난 씨앗이래.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행보가 기대된다. Q&A 송호준 작가의 학창시절은 어땠을까?고려대와 카이스트 출신의 공학도시니 수학도 잘하셨을 것 같아요. 수포자에게 한 마디 하신다면? 학생 때 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동기가 있으면 잘 할 수 있어요. 하지만 학교에서는 이런 동기를 잘 만들어 주지 않는 것 같아요. 저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계신데, 그게 그렇게 신비로울 수가 없는 거예요. 그래서 공업화학과(현 화학생물공학부)에 들어갔지요. 또 유학을 준비하면서 잠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연구한 적이 있는데, 거기에서 연료전지라는 말을 우연히 들었습니다. 그때가 25년 전이니, 국내에는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어요.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