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2017.07.11
- 엘론 머스크는 로켓재활용이라는 꿈같은 아이디어를 실현해 세상을 놀라게 했다. 우리나라의 탈석탄 탈원전 꿈이 현실이 되느냐 여부는 결국 엘론 머스크나 로드니 알램 같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을 천재가 나타나느냐에 달려있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동아사이언스 l2017.07.09
- 소송을 제기해야 할까. AI의 발달과 함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적 문제들이 우리 사회를 걱정에 휩싸이게 하고 있다. 이번 주 ‘사이언스’엔 자율주행, 가상현실(VR) 등 AI가 접목된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점들에 대해 제시하는 편집후기(Editorial)가 실렸다. 미국의 공상과학 ...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2017.07.05
- 있다. 퍼나이휴는 “우리가 대화를 내면화할 때 타인을 내면화하는 것”이라며 “우리 뇌는 목소리로 가득차 있다”고 쓰고 있다. 이처럼 문제를 해결해야 하거나 뭔가 새로운 시도를 할 때, 즉 창조적인 행위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혼자 있기를 바라는 것도 내면의 대화가 방해를 받지 않기 ... ...
- ‘그럴 수도 있지’라고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변화들2017.07.01
- 비난하기보다 따듯한 말로 격려해주고 응원해주는 사람의 존재는 누구에게나 소중하다. 우리 모두 그런 응원을 받을 수 있다면 삶이 훨씬 따듯하게 느껴지지 않을까? 나에게도 타인에게도 따듯함을 허락하자. ※ 참고문헌 Batson, C. D., Fultz, J., & Schoenrade, P. A. (1987). Distress and empathy: Two qualitatively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7.06.27
- 니코스 프란초스 교수는 “저자들의 모형이 흥미로운 대안이지만 SN1991bg 같은 초신성이 우리 은하의 양전자와 칼슘44의 기원이라고 단정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말하면서도 “그럼에도 두 오래된 퍼즐을 한 번에 설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간과하기에는 너무나 매력적”이라고 덧붙였다. 일상의 ... ...
- 당신에게 1년의 시간만 주어진다면 무엇을 할 것인가?2017.06.24
- 모양이다. 학자들은 사람들이 죽음을 떠올렸을 때 삶의 태도를 바꾸는 것을 통해 우리가 삶에서 근본적으로 어떤 것들을 통해 의미를 거둘 수 있는지 알 수 있다고 본다. 앞서 언급한 친말한 관계, 봉사, 가치있는 일, 즐거움과 행복이 그것들이다. 따라서 죽음이 없다면 삶은 완전할 수 없으며 삶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높다. 그렇다면 43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과 30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 사이의 차이는 우리가 익숙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차이보다 적지 않을까. 글과 함께 실린 두개골 비교 사진을 보면 그런 것 같다. 1962년 전문가들조차 이 화석을 ‘아프리카의 네안데르탈인’이라고 불렀을 정도다. 43만 년 ... ...
- 면접 전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2017.06.17
- 예컨대 중요한 발표나 일을 앞두고 있을 때 적당한 불안과 걱정, 소위 ‘위기감’은 우리로 하여금 “그만 놀고 이제 진짜 일해야지”라며 정신차리게 해주지만, 지나친 불안과 걱정은 “다 망했어. 어차피 해도 안 될테니 관두자”는 섣부른 포기를 가져오곤 한다. 감정의 메시지에 관심을 두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대응이고 다른 하나는 행동적 대응이다. 즉 과도한 움직임으로 칼로리가 많이 소모되면 우리 몸은 생리를 조절해 에너지를 아낀다. 예를 들어 운동을 많이 하면 몸의 면역계가 쉬면서 염증반응이 줄어든다. 염증반응 과정에서 관련 세포와 물질을 만들고 열을 내는 등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기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생각하는 등 쉽게 빠져버릴 수 있는 인간의 자아중심성과 오만함을 경계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자연 등 나보다 더 큰 무엇을 이따금씩 바라 볼 필요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방법이 무엇이든 이렇게 나의 자아상을 드높이는 것에만 몰두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으로부터 좀 벗어나서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