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살랑거리다 못해 온몸을 간질이는 시원한 바람. 그래~ 이런 날씨에
집
에만 있으면 죄다 죄! 야외에서 도시락도 먹고 예쁜 사진도 많이 찍어야지. 기차를 기다리는데 역내 방송에서 이 역을 정차하지 않는 기차가 통과한다는 안내가 나온다. 고속열차인 KTX다. 어라, 그런데 KTX가 다니는 선로와 ... ...
고강도 액체금속 개발한 청국장 마니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있다. 손님을 초대하는 일이 잦은 우리나라와 달리 프랑스는 정말 가까운 사람만을
집
으로 초대한다. 플러리 박사는 제자들과 마음을 나누고 싶다는 생각에 이런 자리를 자주 마련한다. 또 제자가 힘들어 할 때는 일단 밖으로 데리고 나가 삼겹살과 소주를 시키는 사람이다.프랑스로 돌아가고 싶지 ... ...
사막개미의 내비게이션은‘냄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거예요. 이런능력 덕분에 사막 개미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100m이상 돌아다녀니면서도
집
을 찾을 수 있는 거랍니다. 어때요? 우리 개미들의 길찾기 능력이 사람들이 쓰는 내비게이션 못지 않으니 저야말로 과학계의 거물이 아닌가요 ... ...
色이 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31% 높아졌다. 이에 비해 파란색에 노출되면 빨간색에 노출됐을 때보다 ‘벽돌 쌓아
집
짓기’처럼 창의적 사고력이 필요한 일을 해내는 능력이 2배 상승했다.연구팀은 “소방차처럼 ‘경계’의 이미지와 버무려져 있는 빨간색은 주의력을 기울여 무언가를 피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는 반면 하늘,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벽에 부딪쳐도 전혀 위험하지 않지만, 덩치 크고 힘 센 로봇에 자율성을 많이 준다면
집
을 다 부수는 무기가 될 수 있다. 공장에서 커다란 부품을 조립하는 산업용 로봇의 경우 힘도 매우 세고 빠르게 움직일 수 있지만 자율성은 거의 허용되지 않고 단순 작업만 반복하도록 돼 있다.현재 사람에게 ... ...
로또에 의혹의 눈길이 떠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복권을 하나 주면 추첨하는 날까지는 기분이 괜찮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님이 물려주신
집
을 팔거나 저금한 돈을 찾아서 로또를 무더기로 사면 주위 사람들이 가만있을까.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같은 만성퇴행성질환 치료비로 들어갈 것이라고 우려했다.팝스를 연구하면서 이 교수
집
에서도 큰 변화가 생겼다. 먼저 식탁에 육류가 올라오는 빈도가 줄었다. 팝스는 육류의 지방에 가장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 되도록 농약을 쓰지 않는 유기농 야채와 과일을 구한다. 이 과정에서 고기를 ... ...
동식물의 신기한 재생능력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재료와 방법 없이도 쉽게
집
에서 재배할 수 있는 식물들이다.우리가 먹는 채소들도
집
에서 재배할 수 있다. 요리 할 때 잘라서 버리는 파뿌리를 물이 담긴 그릇에 가지런히 담고, 햇빛이 비치는 곳에 두면 1~2일만 지나도 파릇파릇한 새 잎이 돋아난다. 일주일쯤 지나면 라면이나 된장찌개에 넣을 수 ... ...
출동! 동물흔적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만약 각각의 동물이 어떤 모습의
집
을 짓는지 알고 숲 속으로 간다면 어떨까? 그럼 그
집
의 주인을 만날 확률이 무척 크겠지? 똥만 보고 안다고?동물은 저마다 똥의 모양이 다르고, 똥을 누는 습성도 제각각이야. 초식동물은 구슬 모양의 똥을, 육식동물은 바나나 모양의 똥을 눈단다. 그런데 ... ...
침투이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상이 돼 천적의 침투 네트워크가 가능할 경우는 오히려 메뚜기들이 한 곳으로 몰려
집
단을 이루는 게 생존에 더 유리하다. 연구자들은 “좁은 지역에 극단적인 밀도로 메뚜기가 모이면 포식자의 먹이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없어지는 결과를 낳는다”며 “또 무리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 지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