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의 두 가지 지도, 정원과 도시IBS l2014.08.05
- 연결되어 있다. 대뇌 전체로 보면 약 150조 개의 시냅스가 있다. 1000억 개의 별이 있는 우리은하를 한눈에 보고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별 자체가 아니라, 별과 별을 잇는 150조 개의 미세한 끈이 주인공이라면 더더욱 난해해진다. 뇌의 지도를 그려라! 뇌 지도에도 축적이 있다. 뇌를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③] 땅속의 무한 에너지, 지열동아사이언스 l2014.08.04
- 적절한 투자와 지원, 연구개발이 이루어진다면 1차 에너지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자립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글쓴이] 이태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열자원연구실 책임연구원 ※출처 : 아톰스토리 '에너지자료'(http://atomstory.or.kr/p/38423/) 아톰스토리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②] 바다로부터 얻는 청정에너지, 조력․조류와 파력동아사이언스 l2014.07.28
- 상용화까지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2015년경에는 본격적으로 상용화가 시작될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진동수주형 용수 시험파력발전소 건설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점차 확대되는 해양에너지 개발 에너지를 둘러싼 환경 변화로 인해 해양에너지 개발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 ...
- 고혈압만 조심? 여름, 저혈압도 조심!KISTI l2014.07.25
- 땀 등으로 배출되고 그 양은 항상 적절하게 유지된다. 그런데 기온이 오르는 여름이 되면 우리 몸은 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해 혈관을 팽창시키고 땀을 많이 내면서 체내 수분양은 급격하게 줄어든다. 수분양이 줄면서 혈액의 양은 줄고 흐름은 약해져 더위 앞에 기진맥진 해진다. 저혈압의 경우, 본래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①] 우주로부터의 선물, 태양광동아사이언스 l2014.07.22
- 기본원리를 고려했을 때 모순적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태양전지는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가시광선은 최대한 투과시키고, 자외선이나 적외선 등 눈에 보이지 않는 태양빛만을 흡수해 전기를 생산한다. 이런 점에서 투명 태양전지는 모순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발상의 ... ...
- [MATH] 반(半) - 자장면과 종이접기KISTI l2014.07.21
- 거듭제곱의 위력은 간단한 실험으로도 알 수 있다. 이제 브리트니가 했던 것과 같이 우리도 실제로 종이를 반으로 접어보자. 커다란 신문지 한 장을 준비하여 반씩 계속 접어보자. 한 번 접으면 2장, 두 번 접으면 4장, 세 번 접으면 8장이 된다. 과연 몇 번 접으면 더 이상 접을 수 없을까? 생각 ... ...
- 아이디어가 실현되는 창구, 창조경제타운!동아사이언스 l2014.07.21
- 아시죠? 제가 번 돈은 거기다 꼭꼭 잘 모아주세요. 아시겠어요, 김부장?” “우리 김사장, 그렇게 쩨쩨한 사람 아니잖아. 안 그래? 월급을 조금만 더 올려주면 안 될까?” “음…, 제가 아이디어 제안서 만들고, 사이버 멘토링 받느라 하루에 몇 시간씩 컴퓨터 앞에 앉아 있어도 잔소리 한마디 ...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IBS l2014.07.09
- 또는 항암제에서 약물 내성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런 내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강력한 수단은 바로 유기합성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약물 내성을 일으키는 돌연변이를 신속하게 따라잡으려면, '레고 화학'과 같은 혁신적인 유기화학 반응으로, 원하는 화합물의 골격을 ... ...
-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KISTI l2014.07.02
- 것은 우주 비행사의 안전”이라고 말하는 NASA.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요즘, 우리가 본받고 배워야할 자세다. 글 : 심우 과학칼럼니스트 1. 처음 읽는 미래과학 교과서 - 우주공학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리스쿨 3. ZDNet Korea 2014년 5월 3일자, “NASA, 우주구명보트 ... ...
- 우리 가족의 재밌는 ‘과학캠핑’ 즐기기KISTI l2014.07.02
- 파랑을 즐기기 위해 일주일을 기다리며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있게 하는 묘약이다. 이제 우리나라 캠핑 인구는 연간 300만 명 규모를 넘어섰다. 유행이 되면 으레 경쟁이 심해지듯 캠핑을 떠나기 전에 구비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아졌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돗자리 펴놓고 바닥에 앉아 프라이팬에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