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평
평론
리뷰우
비평
기사
잡지
서평
스페셜
"
리뷰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게재가 거절되고, 힉스는 이를 보완하면서 힉스입자 아이디어를 추가한 논문을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보낸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해 7월 구럴닉은 학회 참석차 이탈리아 코모호수에 머무르던 스승 길버트를 방문했다. 당시 이들이 서로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면 아직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연달아 술을 마시다보니 어느새 중독이 된다는 것. 2005년 ‘영국의학저널’에 실린 한
리뷰
논문은 숙취 연구결과를 이렇게 요약했다. “숙취를 예방하거나 없애는 민간요법 가운데 정말 효과가 있다는 믿을 만한 증거는 없다. 숙취를 피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음주를 자제하는 것이다.”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멜라토닌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 사람들이 암에 취약해졌다는 것. 2013년
리뷰
논문에서 저자들은 급증하는 유방암과 전립선암의 절반은 식생활의 서구화 같은 통상적인 원인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쓰고 있다. ●청색LED 발명은 건강의 빨간 신호?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청색LED를 발명한 일본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것처럼 세포가 모여 자발적으로 특정한 구조를 갖는 조직이나 기관이 형성된다는 것.
리뷰
논문을 읽다 필자는 문득 사사이 박사가 오보카타를 적극 돕게 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즉 오보카타가 수소이온농도(pH) 변화나 모세관 같은 공간적인 제약 등 물리적인 변화가 세포의 성격을 바꾼다는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
IBS
l
2014.08.06
교수와 함께 맞춤형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체교정 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네이처
리뷰
제네틱스(Nature Review Genetics)' 5월호에 게재했다. 이에 따르면 2003년에 1세대 유전자가위인 징크 핑거 뉴클레아제(ZFN)가 유전체 교정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2011년 말에 개선된 2세대 유전자가위인 탈렌(TALEN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있지 않다. 브라운 교수는 이런 법률의 진전에는 여론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이
리뷰
를 통해 물고기의 진면목을 보여주겠다고 나선 것이다. ●목소리도 표정도 없는 물고기 브라운 교수 역시 사람들이 물고기에게 그다지 동정심을 보이지 않는 이유를 두 가지 대고 있다. 흥미롭게도 ... ...
단식의 과학
2014.06.16
학습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인 해마의 신경생성을 촉진하는 등 다양한 작용을 한다.
리뷰
논문에서 저자들은 “모든 포유동물에서 보존된 행동 양식은 굶주릴 때 부지런해지고 배부를 때 게을러진다는 것”이라고 쓰고 있다. 한편 단식이 가져오는 생리적 변화의 상당부분은 인슐린유사성장인자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얼마 전 원자번호(원자핵 양성자 숫자) 117인 원소를 만들었다는 연구결과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실리며 주기율표 식구가 하나 더 늘어나는 게 확실시되고 있지만(국제순수응용물리학화학연맹의 승인만 남았다), 사실 이런 ‘합성’ 원소들은 수명이 무척 짧은, 실재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데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섞여 있어 천체가 형성되는 속도가 늦어졌기 때문이라는 것. 한편 ‘피지컬
리뷰
레터스’ 4월 25일자에는 불임 뉴트리노가 암흑물질일거라는 또 다른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물리천문학과 케보르크 아바자니안 교수는 유럽우주국(ESA)의 XMM-뉴턴우주망원경에서 관측한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통증이 사라졌다는 걸 깨달았다. 근육의 중요성에 대한 두 번째 통찰은 학술지 ‘네이처
리뷰
내분비학’ 2012년 8월호에 실린 한 논문에서 왔다. ‘근육과 운동, 비만: 분비기관으로서의 골격근(Muscles, exercise and obesity: skeletal muscle as a secretory organ)’이라는 제목이다. 참고로 근육은 뼈와 연결돼 몸의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