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평
평론
리뷰우
비평
기사
잡지
서평
스페셜
"
리뷰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이런 명령까지 할 ‘권리’가 있느냐는 것이다. 결국은 소비자 선택에 달려
리뷰
논문을 읽고 난 소감은 ‘이래서는 해결이 될 문제가 아니겠다’는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즉 건강과 환경 이슈만으로는 고기를 향한 사람들의 열망을 잠재우기에 역부족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동물복지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게 셀리악병이다. 많은 경우 글루텐이 없는 음식을 먹으면 증상이 사라진다. - ‘네이처
리뷰
면역학’ 제공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밀가루 음식 섭취 관련 증상의 원인이 글루텐 때문만은 아니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즉 밀에 들어 있는 다른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유발한 결과일 수도 있고 심지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활동으로 아직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 ‘생리학연간
리뷰
’ 제공 펠드먼 교수는 1978년 연수 말단에 있는 조직에 뵈트징어복합체(Bötzinger complex)라는 이름을 붙여줬는데 이 조직이 그 바로 앞에 있기 때문에 전(前)뵈트징어복합체(pre-Bötzinger complex)라고 명명했다. 참고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탄수화물 잘 소화하도록 진화 논문을 읽다 보니 문득 지난 2015년 학술지 ‘계간생물학
리뷰
’에 실린 ‘인간 진화에서 식이 탄수화물의 중요성’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생각났다. 역시 비슷한 맥락으로 고지방 식단을 ‘구석기 다이어트(paleo diet)’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때문에 구석기인들이 마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헤그스테드는 이 논문들을 과소평가했고 1967년 학술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에 실은
리뷰
논문에서 지방이 문제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그리고 논문에는 당연구재단이 연구비를 댔다는 언급이 없었다. 2016년 'JAMA내과학' 논문이 문제 삼은 게 바로 이 장면으로, 그 앞의 정황을 모른다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정보를 학습하게 할 경우 그 정보에 대한 기억형성이 방해를 받는 현상이다. ‘뉴런’의
리뷰
논문은 심리학 연구결과인 위의 능동적 망각들을 짧게 설명한 뒤 최근의 신경과학 연구결과인 ‘고유망각(intrinsic forgetting)’이라는 개념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즉 뇌에는 ‘망각세포(forgetting cell)’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세월 진화로 결정된 인체의 생물적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 만만치 않음을 짐작케 한다.
리뷰
논문에서 저자들은 “지난 천 년 동안 인류가 생리적 한계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테스트하기는 어려웠다”며 “오늘날 우리는 이 한계를 인식하게 된 첫 세대”라고 담담히 서술했다. 그리고 미래 과학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사는 저서어류(갈색 x)는 꽤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여전히 있다. - 해양과학연간
리뷰
제공 바닷물과 수산물의 방사능을 조사한 수많은 데이터를 정리한 그래프를 보면 (세슘137과 세슘134를 합친 값이다. 세슘134는 반감기가 2년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세슘137에 상대적인 비율이 떨어진다.) 사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렌타가 있더라도 이 효소가 없는 다른 균주일 경우 혈액 내 디곡신 농도가 유지됐다.
리뷰
논문 말미에서 저자들은 “장내미생물과 유전자를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한계가 있다”며 “종이 아니라 균주의 차원에서 생체이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찾고 그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데이비드 필링게리 박사는 지난 2015년 학술지 ‘신경생리학저널’에 발표한
리뷰
논문에서 선충 연구를 자세히 소개하며 사람의 경우 좀 더 복잡하겠지만 기본 틀은 유지될 거라는 입장을 밝히며 이를 도식화한 그림을 실었다. 습도감각은 다른 감각에 비해 아직 밝혀진 게 적다. 곤충의 경우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