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게재
기입
끼워 넣기
추가
투입
뉴스
"
삽입
"(으)로 총 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장으로 혈관 속 시술 기기 조정하는 중재시술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시스템의 설명도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의사의 손 대신 자기장을 이용해 혈관에
삽입
한 와이어나 카데터(관) 같은 시술장치를 실시간 조종하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동물 실험에서 시술장치를 안전하게 치료할 위치까지 보내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향후 의료 현장에 활용될 수 있을 ... ...
환자 세포를 3D프린팅 찍어 만든 인공귀 이식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03
‘바이오 잉크’를 만들었다. 그런 뒤 콜라겐을 주사기를 통해 특수 3D 바이오 프린터로
삽입
하면 프린터는 노즐에서 일정하고 얇은 흐름으로 분사하면서 환자의 정상 귀의 모양을 복제한 모양대로 인공 귀를 만들었다. 이를 환자의 턱뼈 바로 윗부분 피부 아래에 이식했다. 현재 이식된 3D 프린팅 ... ...
재미 한국인 연구자들, 몸 속에서 40일 작동하고 스스로 녹는 심장박동 조율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임시형을 사용한다. 문제는 기존의 임시형 조율기는 몸 밖에 조작 장치가 있고 인체
삽입
형 전극이 피부를 관통하는 전선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지녔다는 점이다. 전선을 통한 감염 위험이나 환자가 자세를 바꿀 때 전극이 제위치를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제거할 때도 몸 안의 전극을 제거하다가 ... ...
심장기능 17%로 태어난 아기, 보조장치 400일 달고 회복 후 퇴원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2.05.27
회복했다는 점에서도 이례적이라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체외형 심실보조장치
삽입
술은 28건이 실시됐으나 심장 기능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온 경우는 순후를 포함해 3건뿐이다. 유일한 치료방법으로 알려진 심장이식도 감염, 거부반응 등 합병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순후의 사례는 ... ...
나사풀림 등 변형 스스로 감지하는 지능형 금속 부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26
삽입
으로 금속 부품의 기계적인 특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삽입
위치를 설계하고, 센서
삽입
후에는 기계 분석과 미세조직 분석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만이 아닌 일반 철강이나 알루미늄, 티타늄 합금 등 제조업에 쓰이는 일반적인 다양한 ... ...
노벨상 수상자 셰크먼 교수 "유전자 가위 아픈 세포에 넣어 난치병 치료할 날 곧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유전체 수술로 난치병을 치료할 가능성도 있다. 셰크먼 교수는 “현재도 캐스9을 몸 속에
삽입
하는 몇몇 방법이 있긴 하지만 특정 세포를 표적으로 삼기 어렵고, 체내 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것도 쉽지않다”며 “혈액 내 수십억개가 존재하는 엑소좀을 이용하면 면역 체계를 회피할 수 있고, 표적 ... ...
고성능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개발자 이정용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태양전지 성능과 직결된다. 이 교수팀은 이종 반도체 사이에 계단형 에너지층을
삽입
해 효율적인 전하 전송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광전소자를 개발했다.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 직진성과 응답속도가 좋아 태양전지 성능을 높이는 데 주된 역할을 했다. 개발한 광전소자를 ... ...
세계 두 번째 '천문도' 기념 메달 제작…다이아몬드도
삽입
연합뉴스
l
2022.04.21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기념 메달 앞면. 한국조폐공사 제공 한국조폐공사가 21일 과학의 날을 맞아 조선시대 천문도인 국보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을 기념 메달로 제작해 선보였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천문도로 알려진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은 천체의 형상을 직 ... ...
수입 의존하던 로봇 카테터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개발한 굴곡 가이딩 카테터는 시술 등 치료를 위한 카테터가 장기 조직 손상 없이 깊이
삽입
되기 위해 해당 위치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카테터다. 스프링을 사용한 기존 외산제품과 달리 지름 2.8mm의 부드러운 튜브 형태로 더 유연해 조직 손상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또 기존 로봇 카테터들이 한 ... ...
[프리미엄 리포트] 오미크론, 팬데믹의 마지막 주자일까
과학동아
l
2022.04.02
이로 인해 스파이크 단백질에 있는 30개의 아미노산이 바뀌었고, 3개의 결손과 1개의
삽입
이 확인됐다. 게다가 바뀐 아미노산 중 15곳은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달라붙은 위치(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에 있다. 변이 대신 ‘변종’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있을 정도로 모양새가 달라진 것이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