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게재
기입
끼워 넣기
추가
투입
뉴스
"
삽입
"(으)로 총 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성능 저하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1
일정한 전류를 흘려주는 방식(정전류)으로 충전한 이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구간을
삽입
하는 방식(정전압)이다. 이는 최대한의 주행거리를 확보하고 고속 충전시 발생하는 전지 소재의 입자 불균일성을 완화해 구조 불안정성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전기차용 하이 ... ...
초소형 유전자가위 개발…다양한 체내 장기에서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유전 정보가 들어있는 유전체에서 특정 염기 서열을 인식한 뒤 해당 부위의 DNA를 제거,
삽입
, 대체하는 기술이다. 2020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크리스퍼(CRISPR) 기술이 대표적이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절단해야 할 부위를 알려주는 가이드 RNA와 실제 DNA를 절단하는 효소로 구성된다. 이들을 ... ...
형광 단백질 붙여 신경세포 분화 과정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8
KBRI 뇌발달질환연구그룹 책임연구원은 인간 유도 만능줄기세포에 형광단백질 유전자를
삽입
했다. 신경전구세포 특이 유전자(NGN2)에 붉은색 형광단백질(RFP), 또 다른 신경세포 특이 유전자(TUJ1)에는 초록색 형광단백질(EGFP)을 각각 발현시켰다. 그 결과 대뇌피질의 신경세포 분화 과정을 시각화할 수 ... ...
정자·난자 없이 ‘쥐 인공 배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연구에 참여한 제이콥 한나 와이즈만연구소 연구원은 “인공 배아를 암컷 쥐의 자궁에
삽입
시켰지만 더 이상 성장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초기 배아단계의 줄기세포. 위키피디아 ... ...
인간의 뇌, 하룻밤 수면 중 100번 넘게 잠시 깬다
연합뉴스
l
2022.07.21
및 DB 금지] 연구팀은 유리로 만든 미세 광섬유와 인공 '광 수용체'를 생쥐의 뇌에
삽입
한 뒤 LED 광원 등의 케이블에 광섬유를 연결했다. 그런 다음 생쥐가 잠들었을 때 노르아드레날린 수위와 뇌의 전기적 활성도를 비교했다. 수면이 기억력 강화에 좋다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빛 본지 10년...세상에 없었던 치료법이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1
대상에서 제외하는 법안을 의회에 상정했다. 유전자 교정 농작물은 다른 종의 유전자를
삽입
해 원하는 형질을 얻는 GMO와는 다른 기술이라는 판단이다. 통과할 경우 비타민D가 다량 함유된 유전자 교정 토마토가 식탁에 오를 전망이다. ● 특허 분쟁·생명윤리 논란도 관심 ‘세기의 특허 ... ...
"北 발사 위성 2개, 여전히 궤도 운행…교신 여부 불확실"
연합뉴스
l
2022.06.22
를 발사하던 장면으로 시작하는 다큐멘터리 '사랑의 금방석'을 상영했다. 사진은 영상에
삽입
된 광명성 4호의 발사 장면. [조선중앙TV 화면] 2021.10.21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한국이 누리호(KSLV-Ⅱ) 발사 성공으로 '세계 7대 우주 ... ...
혈액세포, 조혈모세포만 만드는 게 아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조사했다. 이 기술은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배아 상태의 쥐 세포에 특정 염기서열을
삽입
해 성인이 될 때까지 각 세포가 어떤 세포에서 유래됐는지 알아낸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혈액세포의 출처도 알아낼 수 있다. 페르난도 카마르고 미국 보스턴어린이병원 교수는 “이전에는 이런 도구가 ... ...
국내 연구진, 질병 세포만 쏙쏙 노리는 유전자 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세포에서는 세포질에 머물러 유전자 교정을 수행하지 않지만, 질병 세포에서는 새로
삽입
한 염기서열이 잘리며 세포핵으로 들어가 유전자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폐암 세포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연구팀은 우선 ‘Ezh2’란 발암 단백질이 생성될 때 ‘마이크로RNA-21’이 ... ...
뇌 신호 안전하고 정밀하게 측정하는 하이드로젤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레이저 공정은 생체친화성이 높아 장시간 생체 내에
삽입
해도 건강을 지킬 수 있다”며 “전기생리학적 신호를 오랜 기간 수집할 수 있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의 새 근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