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뉴스
"
밀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밀
수확량 떨어뜨리는 '붉은 곰팡이병' 사라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24
정보를 가지고 Fhb7 유전자를 복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왕 교수는 “상업용
밀
품종에 Fhb7 유전자를 넣는다면 식품 안전 문제와 수확량 손실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약 520광년 밖 젊은 별 주변서 행성 형성 첫 직접 증거 포착
연합뉴스
l
2020.05.21
년 전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망원경 배열인 '아타카마 대형
밀
리미터/서브
밀
리미터집합체'(ALMA)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됐다. 천문학자들은 당시 ALMA 이미지에서 별 주변의 원반 안쪽에서 두 개의 나선팔을 찾아냈다. 보칼레티 박사 연구팀은 VLT 스피어 이미지를 통해 두 개의 나선팔 ... ...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이 신천지 사례와 같으면서도 다른 점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소수의
밀
접한 접촉을 하는 소모임이 많은 점이 다르다고 밝혔다. 개인 간 접촉들이
밀
도 높게 여러번 반복 노출됐다는 것이다. 정은경 본부장은 “두 사례의 발병률이 이같은 차이점으로 인해 다를 수 있다고 보고 있지만 잠복기가 끝나고 발병률이나 정확한 노출 규모를 파악해야 확인할 수 ... ...
70년 난제로 남았던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 규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상태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다공간 제한탐색
밀
도 범함수론(MS-DFT)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해 차세대 반도체 소자 후보군 중 하나인 단일분자 소자 속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길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 현상을 처음 밝혀냈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 ...
외계서 온 '손님' 보리소프 태양계 일반 혜성과는 달라
연합뉴스
l
2020.04.21
각각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망원경 배열인 '아타카마 대형
밀
리미터/서브
밀
리미터집합체'(ALMA)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보리소프를 직접 관측해 같은 결과를 얻었다. ALMA를 통한 관측은 12월 15~16일 이틀간 이뤄졌으며, 허블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은 12월 11일부터 1월 13일 사이에 네 ... ...
20번 빨아 쓰는 마스크·치료용 항체 개발했다는데 당장 못쓰는 이유
2020.03.24
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미세한 필터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고 섬유 종류와 두께,
밀
도 등을 조절해 KF80~KF95까지 여과 성능을 낼 수 있는 필터를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하루 1500매 생산하는 제조 설비도 갖췄다”며 마스크 품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소개했다. ... ...
"한 시간에 균 99.9% 제거" 항균 효력 높인 은나노 소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접촉시킨 뒤에는 균의 99.9%까지 제거가 가능했다. 연구팀은 전자빔의 에너지와 굵기,
밀
도 등을 변화시키면 다양한 나노 및 바이오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김창수 선임연구원은 “기존보다 간단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나노소재의 항균 능력을 극대화했다”며 “세균이나 ... ...
20번 빨아도 재사용 가능한 마스크용 나노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1nm는 10억 분의 1m)인 미세한 필터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고, 여기에 섬유 종류와 두께,
밀
도 등을 조절해 KF80~KF95까지 여과 성능을 낼 수 있는 필터를 만들었다. 이 필터는 에탄올을 이용해 살균 세척을 20번 반복해도 여과효율이 94%까지 유지됐고, 손세탁을 하거나 4000번 구부려도 구조가 변하지 ... ...
“코로나 감염 예방하려면 얼굴 만지는 습관부터 버리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3.06
갖다대지 않는 식의 기본 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입을 모은다. 애런
밀
스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교수는 “바이러스가 스스로 사람의 입으로 들어가지는 않는다”며 “물체를 만지는 것을 조심하는 것보다 얼굴에 손을 갖다대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
2020.02.25
빈도가 높아질 거라는 단순한 수식인 ‘전파 속도 = 감염자 수 × 전파 가능 숙주
밀
도 × 운(우연)’에 기반한 결론일 뿐이다.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신동아’ 3월호에 실린 인터뷰 기사(2월 14일 진행)에서 “지역 사회 감염 전파가 시작되고 나면 국경 강화의 가치가 뚝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