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카림 아디프라지토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교수도 함께 일반적인 로타의
추측
을 풀었습니다. Q. 공동연구를 많이 하시나요? A. 그럼요. 제가 최근에 쓴 논문은 모두 공동연구의 결과물이에요. 제 모든 연구 결과들은 뛰어난 동료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어요. 어떤 때는 제가 다른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②]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아는 모습만큼이나 모르는 모습도 많아졌을 것이다. 수학도 예술처럼 푹 빠져 했으리라
추측
해 본다. 준이가 이 글을 읽는다면, 수학도 예술이라고 말할 것 같다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후에도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
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연구를 하기를 기대합니다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수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제시한 문제로, 케플러의
추측
으로 불립니다. 이
추측
은 1998년 토마스 헤일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교수가 방대한 양의 컴퓨터 계산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3차원 문제를 해결한 뒤 수학자들은 4차원 이상의 고차원에서의 공 쌓기 문제에 몰두했습니다. 고차원 공 쌓기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교수와 함께 ‘듀핀-쉐퍼의
추측
’을 해결한 것입니다. 이
추측
은 1941년에 발표된 문제로, 실수와 유리수의 오차가 특정 수준만큼 작을 때 이를 만족하는 유리수가 무한히 많은 경우가 언제 나타나는지 묻는 문제입니다. 즉 실수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와 관련한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조사단이나 전국의 금속공예 전문가에게 자문해도 시원한 답을 찾을 수 없었다. 그래도
추측
해 본다면 어떤 기물에 장식적으로 붙인 마구리거나 맨눈으로는 문양을 볼 수 없다는 점에서 인간이 아닌 신을 위한 작품 정도로 생각해볼 수 있다.오랜 시간 걸려 연구하고 공개됐지만, 아직 풀지 못한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7장. 컴퓨터의 탄생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자신의 연구가 현실에서 얼마나 쓸모 있을지에 대해 신경 쓰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감히
추측
하자면 독일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나 미국 수학자 쿠르트 괴델도 하디와 비슷한 마음으로 논리학 연구에 임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많은 수학 연구는 뜻밖의 과정을 거쳐 공학이나 과학에서 아주 ... ...
[과학뉴스] 하이에나의 초스피드 진화 비결은?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동물들이 기후변화에 잘 대처할 수 있다고 조심스레
추측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이 결과가 동물들이 안전하다는 의미는 절대 아니다”라며 “(동물들의 빠른 진화는) 빠르게 악화되는 환경의 결과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doi: 10.1126/science.abk085 ... ...
[가상 인터뷰] 꿀벌도 홀짝 구별한다!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않았어요. 꿀벌은 카드 속 도형을 2개씩 묶어 짝을 이루지 못한 것을 구분한 거라는
추측
이 나오고는 있어요. 인간의 뉴런(신경세포)은 860억 개나 돼요. 제 뉴런의 수는 96만 개 정도밖에 안 되죠. 그런데도 사람처럼 이토록 깊은 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 ...
[멍냥과학] 강아지는 모국어와 외국어를 구분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오랫동안 접해온 언어의 특징을 더 많이 익혔기에 뇌가 더 강하게 반응했을 거라고
추측
했지요.연구팀은 “인간이 아닌 동물이 두 가지 언어를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다”며, “이것이 개만의 특별한 능력인지, 다른 동물들도 가진 능력인지는 모른다”고 말했어요. 어쩌면 개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