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측"(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과 인연이 깊은 수학자부터 폴리매스 수학자까지! 별별 필즈상 수상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공동연구 프로젝트입니다. ‘쌍둥이 소수 추측’에 관한 문제를 풀던 메이나드 교수는 혼자서 더 나은 결과를 내는 것이 어렵자 2014년 폴리매스 프로젝트 8번 문제에 참여해 연속하는 두 소수의 간격이 246 이하인 소수 쌍이 무수히 많다는 것을 ...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프로젝트를 활용했다고요? 네! 맞아요. 소수의 간격을 2까지 줄이면 쌍둥이 소수 추측을 해결할 수 있어요. 600보다 줄이기 위해 노력했지요 그런데 혼자서 할 수 없었어요. 그래서 대규모 수학 공동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활용하기로 마음먹었어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큰 ...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상상하기 어려운 공간인 8차원과 24차원에서의 케플러의 추측을 해결했어요. 우리는 3차원 공간에서 과일을 쌓아 비아조프스카 교수의 연구를 엿봅시다 ... ...
- [편집장이 허락한 이달의 꼼지락] 과학동아 편집부가 머리에 옷걸이를쓴 까닭은?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쓰면 고개가 돌아간다”는 힌트를 줬기 때문에 플라시보 효과로 고개를 돌렸다는 추측을 해볼 수 있습니다.옷걸이로 머리 오른쪽 부분이 강하게 눌리자 자극을 피하려 머리를 반대로 돌리는 도피반사가 일어났다는 설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머리에 옷걸이를 씌우면 옷걸이의 모양 때문에 두피가 ... ...
- [별별 우주 기네스] 가장 가까운 별과 가장 먼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우주의 팽창으로 인해 GN-z11 역시 지금은 지구에서 320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을 거라고 추측해요. 처음 관측했을 때보다 훨씬 멀어진 것이지요. 그렇지만 아직 실망은 일러요! 202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발사된 제임스 웹 망원경이 본격적인 우주 관측을 준비하고 있으니까요. 제임스 웹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수많은 추측을 해결했는데, 그 과정에서 어려움은 없었나요? A. 똑똑한 수학자가 정말 많아요. 수학자들끼리 보드게임을 하잖아요? 처음 접하는 게임도 금세 규칙을 이해하고 전략을 세워서 게임해요. 그러면 전 정말 한 판도 못 이겨요. 운에 의존하는 게임 말고는요. 그만큼 전 수학자 치고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8차원 케플러의 추측에 대한 제 논문을 본 한 연구원이 같은 방법으로, 24차원 케플러의 추측을 해결할 수 있다는 내용의 메일을 보내왔습니다. 그 사실을 듣자마자 저는 빠르게 논문을 쓰기로 했지요. 원리는 같기 때문에, 이건 시간 싸움이라는 생각으로 논문을 썼습니다. 그 결과 일주일 만에 풀 수 ...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다행히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저를 받아줬지요. Q. 박사과정 중에 일반화한 쇤플리스 추측을 해결하시고, 만 25세라는 젊은 나이에 하버드대 교수가 되셨어요. 혹시 교수님은 본인이 노력파와 타고난 천재 중 어느 유형이라고 생각하는지요? ‘천재’라는 말을 쓰는 대신에, ‘정통한 사람’이라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의 봄은 도롱뇽의 산란으로 시작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없다”며, “암컷을 유혹하는 방법으로 호르몬 같은 화학적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추측되지만 아직 도롱뇽의 번식 방법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어요.이날 야간 탐사에서는 봄이 시작되는 시기에만 관찰할 수 있는 도롱뇽의 산란 장면은 물론, 큰산개구리, 민물가재 등 밤에 ... ...
- [이달의 과학사]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4호기, 폭발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되었지요. 지금까지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4000명에서 9만 명 정도로 추측됩니다. 이 사고는 미국과 함께 세계 최강대국이던 소련이 무너지는 계기가 되었어요. 원전 4호기는 여전히 강력한 방사선을 뿜어내고 있어, 2018년 말에 이를 차단하는 ‘신규안전장벽’이 건설되었어요.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